본문 바로가기
쟁점과 주장

살충제 없는 달걀의 가격

by 다른세상을향한연대 2017. 8. 21.

최태규



살충제 달걀 이슈가 대통령이 직접 나설 정도로 자랐다. 역시 한국에선 먹거리 문제가 가장 폭발력 있는 것 같다. 소비자들은 바보가 아니다. 그 만큼 심각한 일이다. 게다가 한국 사회의 속성이 바닥까지 불신으로 가득 차있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조금만 방심하면 죽을 수도 있다는.

 

문제가 불거지자 책임을 방기했던 정부는 부랴부랴 농장들에게 책임을 떠넘기는 제스쳐를 취하고 있다. 어느 농장에서 언제 생산된 달걀에서 살충제가 나왔다며. 이 과정에서 농식품부는 엉뚱한 농장을 적발했다가 정정하기도 했다. 늘 그랬듯 사회의 불안감은 더 커지고 있다. 살충제 말고도 터질 꺼리는 얼마든지 많다.

 

동물복지농장이 다시 한 번 힘을 받는다. 환영할 일이다. 닭의 모래목욕과 진드기의 관계는 이미 증명되었다. 케이지에 가두지 않고 흙바닥에서 뒹굴 수 있으면 된다.

 

그러나 한국 동물복지농장의 마릿수 당 면적 기준으로는 닭들이 충분히 바닥에서 뒹굴만한 공간이 나오지 않는다. 동물복지농장인증을 받은 많은 양계장은 케이지만 없앴을 뿐 굉장히 빽빽하게 닭으로 가득 차 있다. 게다가 정부는 이 기준조차 완화하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계열화된 대기업의 복지축산 진입장벽을 낮추기 위해서다.

 

동물복지인증마크는 해당 기준을 만족하면 정부가 해당 농장에 부여한다. 정확히는 인증마크를 달고 판매될 수 있는 농장이 되느냐를 심사한다. 그러나 정작 소매점에서 인증마크를 붙인 달걀이 될 것이냐는 풀무원 같은 유통대기업이 결정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동물복지인증을 받은 농장에서 팔린 달걀이 동물복지마크를 붙이지 않고 팔리는 경우도 많다. 이것은 달걀생산자가 자신이 생산한 달걀이 동물복지마크를 붙이고 팔리는지 아닌지를 모를 수 있다는 뜻이다. 소매점에서 일반달걀의 2~4배 가격으로 팔리는 동물복지달걀을 생산하지만, 일반란보다 60~70%정도 높은 가격으로 유통상에 넘긴다.

 

케이지 사육을 포기하면 같은 면적 당 기를 수 있는 닭은 1/3~1/5 정도로 줄어든다. 일반란 생산자와 비교하면 동물복지농장은 경제적으로 무조건 손해다. 특별한 직거래 유통망을 갖고 있지 않다면 말이다.

 

달걀의 소매 가격은 178월 전국평균기준으로 한 알에 250원 정도 한다. 동물복지인증을 받은 양계농가가 대형유통상에게 넘기는 가격과 같다.

 

복지농장으로 전환하면 달걀 가격을 비롯한 축산물 가격이 비싸질 것이라고 하나같이 입을 모은다. 그래서 얼마나 비싼 것이 적정한가, 얼마나 덜 먹어야 하는가를 걱정하고 있다. '너무' 많이 먹는 것은 얼마나 먹는 걸 뜻할까? 얼마나 먹어야 적정한가?

 

지금 내가 머물고 있는 스코틀랜드의 크고 작은 소매점에서는 케이지에서 기른 닭이 낳은 달걀을 찾아보기 어렵다. 전부 동물복지달걀이라고 보면 된다. 한 알의 가격은 200~300원이다. 한국의 일반란 가격이다. 물가가 훨씬 비싼 나라임을 감안하면 한국보다 더 싼 가격일 수 있다.

 

무엇을 우선에 두고 고민해야 하나?

누가 가장 큰 이익을 보고 있을까?

닭들의 복지와 보통 사람들의 필요는 상충하는가?


 


(기사 등록 2017.8.21)  


 * '다른세상을향한연대’와 함께 고민을 나누고 토론하고 행동합시다

   newactorg@gmail.com / 010 - 8230 - 3097 http://anotherworld.kr/164


 '다른세상을향한연대의 글이 흥미롭고 유익했다면, 격려와 지지 차원에서 후원해 주십시오. 저희가 기댈 수 있는 것은 여러분의 지지와 후원밖에 없습니다.

- 후원 계좌:  우리은행  전지윤  1002 - 452 - 4023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