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식인5

[박노자] 푸틴과 지식인/ 푸틴과 박정희 [러시아의 역사와 현실에 대한 깊이있는 이해와 통찰력을 보여 온 박노자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서 시작된 전쟁에 대해서 분석하고 전망하는 글들이다.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사는 러시아계 한국인 교육 노동자/연구 노동자’라고 본인을 소개하는 박노자는 , , , 등 많은 책을 썼다. 박노자 본인의 블로그에 실렸던 글(bit.ly/3jpYwgJ)을 다시 옮겨서 실을 수 있도록 허락해 준 것에 정말 감사드린다.] ● 푸틴 독재와 전쟁, 그리고 지식인 한국의 1970-80년대 지식인 사회를 보면, "냉전 시대의 원로"와 "진보적 신진파"들의 대결 구도 같은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유신 독재와 신군부 독재는 지식인들 사이에서 공포 분위기를 조장하기도 하고 강한 거부감도 불러일으켰지만, 분단과 6.25를 거.. 2023. 5. 11.
"그쪽 때문에!"가 논의의 핵심이다 - 박권일의 "'그쪽이야말로주의'를 넘어서"에 대한 반론 윤미래 [지난 3월 중순에 서방언론과 인터뷰에서 ‘케이팝이 훈련생을 과도하게 혹사시키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BTS의 RM은 문제점을 인정하면서도 ‘침략당하고 황폐화되고 두 동강났던 한국의 역사에 대한 서구인의 이해’를 촉구하는 답변을 했다. 진보적 지식인인 박권일 씨는 이런 RM의 답변을 비판하는 칼럼을 다시 한겨레신문과 팀블로그 파벨라에 게재했한 바 있다.] "①서구가 쌓은 번영의 이면에는 식민지 착취가 있다. ②케이팝 영광의 이면에는 과도한 훈련, 갑질, 청소년 억압 등이 있다. ... ②에 대한 지적을 ①에 대한 지적으로 대응하면 일종의 동문서답이 되고 만다." 한겨레신문과 팀블로그 파벨라에 게재된 박권일 씨의 이 칼럼이 한국 사회에 대해 .. 2023. 4. 1.
급진적 학자들의 글쓰기가 흔히 어려운 이유 조나선 닐Jonathan Neale 번역: 두견 급진적 학자이면서 활동가가 되려는 지식인들이 직면하는 모순과 난관들을 설명하는 글이다. 글이 길어서 일부만 발췌해서 번역했다. 이 글의 필자인 조나선 닐은 생태사회주의자로서 작가이며, 기후 활동가이고, 인류학자, 동화 작가, 등산가, 에이즈 환자들의 조력자 등의 다양한 경력을 가지고 있다. 다양한 활동을 하면서 제국주의, 기후정의, 젠더 억압과 젠더 정의 등에 대한 많은 책과 글을 써왔다. , , 등은 국내에도 출판돼 있다. 출처: https://annebonnypirate.org/2015/04/29/why-radical-academics-often-find-it-hard-to-write-and-what-to-do-about-it 학자이자 활동가가 되는 것.. 2022. 2. 10.
제4의 권력 윤미래 정의연 관련기사의 끝없는 리스트. 조중동은 지난 10년간 정의연 관련기사의 거의 절반을 지난 3달간 만들어냈다. '제4의 권력(Die Vierte Gewalt)'라는 독일 스릴러 영화가 있습니다. 영화의 주인공인 정치부 기자가 현직 장관의 비리를 입증할 문서를 익명의 제보자로부터 전달받는 장면으로 시작하지요. 문서의 진위가 확실치 않다는 것을 알게 되자, 주인공은 신문사에 침입해 문건을 훔쳐내 자작극을 일으킴으로써 대형 스캔들을 만들어내고 결국 의혹의 주인공인 장관은 억울한 자살에 이르게 됩니다. 한 명의 기자가 행정부 각료의 명운을 들었다놓았다 농락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이 이야기는, 국가를 구성하는 입법, 사법, 행정의 '삼권' 옆에 나란히 놓을 만한 '제 사권(四權)'으로서 언론의 힘을 서늘하.. 2020. 6. 18.
이론과 지식인에 관하여 윤미래 이론에 관한 객관주의가 왜 필요한가 이론이 필요한 것은 개인이나 개별 집단, 지역, 성별, 인종, 사회세력의 인식은 언제나 극도로 부분적이고 현상적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물론 이는 근본적으로 모든 인간 인식의 한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도의 차이’가 있다는 것, 양적으로뿐만 아니라 질적으로도 차이가 있다는 사실은 굉장히 중요하다. 이론 생산은 일반적 보편적으로 통용 가능한 인식을 향해 적어도 한 단계의 질적 도약을 꾀하는 시도다. 이러한 노동을 통해 개별자들의 특수성들을 포괄할 수 있는 사회 일반의 인식이나 원리가 존재할 수 있게 된다. 이론은 개별자의 대립물로서 일반 사회의 존재에 조응하는 지적 구조라고도 말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이론은 또한 현상으로는 직접 드러나지 않는 이면의 .. 2017. 11.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