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노동력2

사회적 재생산 이론과 장애 – 2 애론 제프AARON JAFFE사회적 재생산 이론을 통해서 장애를 분석하려는 이 글의 필자인 애런 제프는 좌파적 이론지인 의 편집자이자 (Pluto Press)의 저자이다. 뉴욕의 줄리어드 스쿨에서 철학과 인문학 강의를 하고 있다. 글이 길어서 3번에 나누어 연재한다. 이 글은 두 번째이다.(번역: 두 견)출처: https://spectrejournal.com/social-reproduction-theory-and-disability/ 첫 번째 글에서 이어짐 이러한 사회적 배열은 일종의 인식론, 또는 적어도 무엇이 능력이고 무엇이 능력이 아닌지에 대한 공유된 상식을 만들어낸다. 그러면 장애는 실제가 아닌 자연스러운 것으로, 즉 역사적으로 적어도 광범위하게는 자본에 이익이 되는 것이 무엇인지를 나타내는 지표.. 2024. 8. 13.
사회적 재생산 이론과 장애 – 1 애론 제프AARON JAFFE사회적 재생산 이론을 통해서 장애를 분석하려는 이 글의 필자인 애런 제프는 좌파적 이론지인 의 편집자이자 (Pluto Press)의 저자이다. 뉴욕의 줄리어드 스쿨에서 철학과 인문학 강의를 하고 있다. 글이 길어서 3번에 나누어 연재한다. 이 글은 첫 번째이다.(번역: 두 견) 출처: https://spectrejournal.com/social-reproduction-theory-and-disability/ 사회적 재생산 이론의 '장애'의 문제사회적 재생산 이론(SRT)은 가치의 확장에 대한 마르크스주의 분석을 가치 확장의 기반이 되는 노동력 자체가 생산되고 지속적으로 재생산되는 사회적 관계와 연결시키려는 시도이다. 그렇다면 마르크스주의를 구체화하는 방식으로서 SRT에 헌신하.. 2024. 8.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