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레닌주의48

사회민주주의의 몰락과 미래 - 2 에릭 블랑Eric Blanc 번역: 두견 몇 년 전에 사망한 저명한 좌파 이론가인 레오 파니치Leo Panitch의 작업을 기반으로 해서 사회민주주의의 역사, 장점, 단점, 한계, 모순 등을 다루며 재평가하는 글이다. 이를 바탕으로 근래 영국의 제레미 코빈이나 미국의 버니 샌더스가 보여 준 가능성과 한계를 점검하며 민주적 사회주의를 지향하는 활동가들이 지속해야 할 고민과 해결할 과제들도 짚어보고 있다. 좌파정치에 대한 중요한 논점들을 다루고 있는 이 글의 필자인 에릭 블랑은 미국 민주적 사회주의자들(DSA) 소속의 사회주의 이론가이자 활동가이다. 역사사회학자로서 등 러시아 혁명과 레닌주의에 대한 다양한 신화를 해체하는 논문과 저작, 글을 써 온 것으로도 유명하다. 나아가 적극적인 활동가로서 미국에서 교사.. 2023. 2. 25.
사회민주주의의 몰락과 미래 - 1 에릭 블랑Eric Blanc 번역: 두견 몇 년 전에 사망한 저명한 좌파 이론가인 레오 파니치Leo Panitch의 작업을 기반으로 해서 사회민주주의의 역사, 장점, 단점, 한계, 모순 등을 다루며 재평가하는 글이다. 이를 바탕으로 근래 영국의 제레미 코빈이나 미국의 버니 샌더스가 보여 준 가능성과 한계를 점검하며 민주적 사회주의를 지향하는 활동가들이 지속해야 할 고민과 해결할 과제들도 짚어보고 있다. 좌파정치에 대한 중요한 논점들을 다루고 있는 이 글의 필자인 에릭 블랑은 미국 민주적 사회주의자들(DSA) 소속의 사회주의 이론가이자 활동가이다. 역사사회학자로서 등 러시아 혁명과 레닌주의에 대한 다양한 신화를 해체하는 논문과 저작, 글을 써 온 것으로도 유명하다. 나아가 적극적인 활동가로서 미국에서 교사.. 2023. 2. 7.
독재 또는 민주적 조건에 따라 다르게 보이는 혁명 로날드 그레고르 수니RONALD GRIGOR SUNY 번역: 두 견 러시아 혁명은 러시아를 훨씬 넘어선 나라들에서 혁명적인 격변을 일으켰다. 핀란드와 같은 러시아 제국의 변경지대를 보면, 사회주의적 투쟁은 독재와 의회의 조건에 따라서 크게 다르게 보일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준다. 이 글은 러시아 혁명에 대한 새로운 혁신적 재해석을 시도한 에릭 블랑Eric Blanc의 저작(, Haymarket Books, 2022년 6월)에 대한 서평이다. 비록 이 책이 한국에 번역 출판된 것은 아니지만, 이 서평이 그 책을 소개하고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로날드 그레고르 수니는 러시아 혁명의 역사에 대한 오래고 깊이있는 탐구로 매우 유명하며 , , , , 그리고 등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카프카스의 역사에 .. 2022. 11. 15.
러시아 혁명을 레닌주의를 통해 설명할 수 있는가? - 사뮤엘 파버에 대한 답변 에릭 블랑Eric Blanc 번역: 두 견 근래 서구 좌파진영에서는 사회변혁의 전략에 대한 흥미롭고도 중요한 논쟁들이 벌어지고 있다. 그 속에서 러시아 혁명에 대한 재평가, ‘레닌주의’적 사회변혁 전략의 타당성 등도 중요한 논점이 되고 있다. 우리는 이와 관련된 글들을 계속 번역, 소개해 왔는데 이번 글도 그것의 연장이다. 이 글은 러시아 혁명과 레닌주의의 신화를 해체해 온 에릭 블랑의 최근 저서 가 촉발한 논쟁의 연장이다. 이 책에 대해서 사무엘 파버Samuel Farber가 ‘레닌주의’적 입장에서 반박하는 서평을 썼고, 이에 대한 재반박이 바로 이 글이다. 이 글에 대해 다시 같은 지면에 파버가 재반박을 썼는데 그것은 역량의 부족으로 미처 번역하지 못했다. 사무엘 파버(S.. 2022. 3. 24.
1917년에 레닌의 네 가지 도박 라스 리Lars T Lih 번역: 두 견 혁명을 이루기로 한 볼셰비키의 결정은 국제 혁명, 소비에트 민주주의, 농민들의 충성, 사회주의를 향한 진보라는 네 가지 주요 예측 즉, "도박"에 바탕을 두고 있었다고 라스 T 리는 말한다. 이 글에서 라스 리는 또다시 역사적 기록을 치밀하게 살펴보면서 정설에 도전한다. 라스 리는 러시아어 원자료와 구체적인 상황과 맥락에 입각한 러시아 혁명과 ‘레닌주의’에 대한 혁신적 재해석으로 주목받아 왔고, 수많은 책과 논문을 쓴 역사학자이다. 그의 대표적인 저서로는 (1990), (2006) 등이 있다. 출처: https://weeklyworker.co.uk/worker/785/the-four-wagers-of-lenin-in-1917/ 나는 1917년에 레닌이 한 '네 가.. 2022. 1. 14.
러시아 혁명과 ‘혁명적 사회 민주주의’ 에릭 블랑Eric Blanc 번역: 두견 근래 서구 좌파진영에서는 사회변혁의 전략에 대한 흥미롭고도 중요한 논쟁들이 벌어지고 있다. 그 속에서 러시아 혁명에 대한 재평가, ‘레닌주의’적 사회변혁 전략의 타당성 등도 중요한 논점이 되고 있다. 우리는 이와 관련된 글들을 계속 번역, 소개해 왔는데 이번 글도 그것의 연장이다. 이번 글은 오랫동안 정설로 굳혀져 있던 러시아 혁명과 레닌주의에 대한 중요한 신화들에 도전해 온 에릭 블랑의 혁신적인 새로운 저작() 의 머리말의 처음 두 부분이다. 이 글의 필자인 에릭 블랑은 미국 민주적 사회주의자들(DSA) 소속의 사회주의 이론가이자 활동가이며, 역사사회학자로서 러시아 혁명과 레닌주의에 대한 다양한 신화를 해체하는 논문과 저작, 글을 써 온 것으로도 유명하다. 나아.. 2021. 10. 28.
볼셰비키 노동자 지식인의 이야기 - 바바라 앨런의 '알렉산더 슐랴프니코프' 이안 버철(Ian Birchall) 번역: 두견 이 글은 헤이마켓 북스Haymarket Books가 출판한 바바라 C 알렌Barbara C Allen의 에 대한 서평이다. 비록 이 책이 한국에 번역 출판된 것은 아니지만, 이 책의 주요 내용을 소개하는 이 서평은 러시아 혁명에 대한 보다 종합적이고 비판적인 재평가에 도움을 줄 것이다. 이 글의 필자인 이안 버철은 역사가이자 사회주의자이며 영국 사회주의노동자당(SWP)에서 50년 이상 활동하다가 2013년 말에 탈당했다. 국역된 저서로는 (공저), 가 있다. 출처: https://www.rs21.org.uk/2016/08/09/the-story-of-a-bolshevik-worker-intellectual-a-re.. 2021. 6. 8.
‘4월 테제’: 신화와 현실 라스 리(Lars T Lih)번역: 두견 좌파의 많은 사람들은 레닌이 1917년에 트로츠키주의로 전향한 것으로 보고 있다. 라스 T 리는 이 신화와 대결하면서 어떤 면에서 트로츠키와 수렴하면서도 여전히 다른 전략을 가지고 있는 레닌을 드러낸다. 거기에는 또한 카우츠키가 레닌에 가한 영향도 존재한다. 이 글에서 라스 리는 또다시 역사적 기록을 치밀하게 살펴보면서 정설에 도전한다. 라스 리는 러시아어 원자료와 구체적인 상황과 맥락에 입각한 러시아 혁명과 ‘레닌주의’에 대한 혁신적 재해석으로 주목받아 왔고, 수많은 책과 논문을 쓴 역사학자이다. 그의 대표적인 저서로는 (1990), (2006) 등이 있다. 이 글은 얼마 전에 번역 소개한 라스 리의 또 다른 글 ‘4월 테제: 1917년 4월의 이전과 이후’(h.. 2020. 12. 5.
무엇을 할 것인가 - 신화를 뒤엎기 라스 리(Lars T Lih)번역: 두견 역사학자 라스 리(Lars T Lih)가 레닌의 가장 유명하지만 가장 오해 받고 있는 팸플릿 중 하나인 를 비판적으로 해부하며 기존의 신화에 도전한다. 이 글의 필자인 라스 리는 러시아어 원자료와 구체적인 상황과 맥락에 입각한 러시아 혁명과 ‘레닌주의’에 대한 혁신적 재해석으로 주목받아 왔고, 수많은 책과 논문을 쓴 역사학자이다. 그의 대표적인 저서로는 (1990), (2006) 등이 있다. 출처: https://weeklyworker.co.uk/worker/838/scotching-the-myths/ 는 1901년 가을부터 1902년 봄 사이에 처음으로 러시아어로 쓰여졌다. 그것은 레닌이 청중으로 삼은 다소 제한된 수의 사람들, 즉 러시아의 사회민주주의 운동에 .. 2020. 11. 15.
4월 테제: 1917년 4월의 이전과 이후 라스 리(Lars T Lih)번역: 두견 4월 테제는 단절보다는 볼셰비키의 연속성을 상징한다고 라스 리는 주장한다. 이것은 한 포럼에서 행한 연설의 편집본이다. 이 글에서 라스 리는 다시 한번 역사적 기록을 치밀하게 살펴보면서 레닌이 17년 4월에 천재적인 독창성으로 ‘옛 볼셰비키’와 단절했다는 신화에 도전한다. 이처럼 러시아 혁명과 레닌주의를 재평가하는 글들을 계속 번역 소개할 계획이다. 이 글의 필자인 라스 리는 러시아어 원자료와 구체적인 상황과 맥락에 입각한 러시아 혁명과 ‘레닌주의’에 대한 혁신적 재해석으로 주목받아 왔고, 수많은 책과 논문을 쓴 역사학자이다. 그의 대표적인 저서로는 (1990), (2006) 등이 있다. 출처: https://weeklyworker.co.uk/worker/939/.. 2020. 10. 6.
세상읽기 - 성폭력적 사회구조와 문화/ 서해의 비극/ 레닌주의 전지윤 ● 성폭력 사건에서 구조와 문화에 대한 성찰 보수언론, 주류언론들을 불신할 이유는 많다. 최근에도 이재용 기소와 박덕흠 비리에 대한 이들의 태도를 보면 기가 막힌다. 그동안 민주당 쪽 인사들의 부정 의혹들과 비교하면 이 문제들은 훨씬 더 분명하고 심각하다. 하지만 언론의 보도 태도는 하늘과 땅이다. 왜? 비리와 부정을 저지른 자들이 자기들 진영이거나, 삼성과 건설사들은 언론사들의 대주주이자 최대 광고주이기 때문이다. 한국 주류언론에게 감히 건드릴 수 없는 비판의 성역이자 금단의 영역은 문재인이 아니라 이재용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 박원순 시장 관련 사건에서 마치 여권 지지자들이 대부분 피해자를 불신하고 2차가해에 동참하고 있다는 식의 언론 보도와 프레임도 믿지 않는다. 일부 극단적 목소리를 마치.. 2020. 10. 3.
레닌주의의 신화와 진실 - 분파는 정당이 아니다 라스 리(Lars T Lih)번역: 두견 이 글에서 라스 리는 다시 한번 역사적 기록을 치밀하게 살펴보면서 신화와 정설에 도전한다. 그것은 볼셰비키가 1912년에 '새로운 유형의 정당'을 만들려고 했고 이것이 ‘레닌주의 정당’의 출발이라는 것이다. 이 글의 필자인 라스 리는 러시아어 원자료와 구체적인 상황과 맥락에 입각한 러시아 혁명과 ‘레닌주의’에 대한 혁신적 재해석으로 주목받아 왔고, 수많은 책과 논문을 쓴 역사학자이다. 그의 대표적인 저서로는 (1990), (2006) 등이 있다. 출처: https://weeklyworker.co.uk/worker/912/a-faction-is-not-a-party/ 최근 온라인 토론에서는 볼셰비즘과 전체로서 당의 관계에 대한 레닌의 생각이 자주 이슈로 떠올랐다. .. 2020. 9.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