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적 재생산26

트랜스포비아의 뿌리와 사회적 재생산 잭 머들Zack Muddle 번역: 두견 트랜스포비아를 자본주의에서 생산관계와 과정이 사회적 재생산과 어떻게 연결되면서 차별과 억압을 낳게 되는가에 대한 치밀한 분석을 통해서 설명하고자 하는 이 글은 영국의 급진좌파 단체인 ‘노동해방을 위한 동맹’The Alliance for Workers’ Liberty의 주요 활동가인 잭 머들Zack Muddle이 쓴 것이다. 다가오는 5월 17일 ‘국제성소수자혐오반대의날’을 맞이하여 이 글을 번역 소개한다. 출처: https://workersliberty.org/story/2022-09-13/social-reproduction-and-roots-transphobia 사회주의자로서 우리는 자유의 확장과 인간의 번영을 위해 싸우고 억압과 차별을 없애기 위해 노력한다. .. 2023. 5. 15.
젠더에 대한 고찰 2 신치아 아루짜Cinzia Arruzza 번역: 두견 자본주의와 가부장제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몇가지 대표적인 이론과 분석들을 깊이있게 검토하고 평가하면서 억압과 착취가 어떻게 구조적으로 연결되고 작동하는지에 대한 가장 정확한 분석과 이론을 찾으려는 시도이며 사회적 재생산 이론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글이다. 3.8 여성의 날이 있는 3월을 기념하며 이 글을 번역 소개한다. 이 글의 필자인 신치아 아루짜는 이탈리아 급진좌파 조직인 ‘시니스트라 크리티카’의 주요 멤버였고 현재 뉴욕의 ‘뉴스쿨 오브 소셜 리서치’에서 철학 조교수이자 페미니스트 및 사회주의 운동가로 활동하고 있다. 사회적 재생산과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에 대한 많은 연구와 저술을 해 왔고 저서로는 , 등이 있다. 글이 상당히 길어서 2번에 나누어 연.. 2023. 3. 29.
젠더에 대한 고찰 1 신치아 아루짜Cinzia Arruzza 번역: 두견 자본주의와 가부장제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몇가지 대표적인 이론과 분석들을 깊이있게 검토하고 평가하면서 억압과 착취가 어떻게 구조적으로 연결되고 작동하는지에 대한 가장 정확한 분석과 이론을 찾으려는 시도이며 사회적 재생산 이론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글이다. 3.8 여성의 날이 있는 3월을 기념하며 이 글을 번역 소개한다. 이 글의 필자인 신치아 아루짜는 이탈리아 급진좌파 조직인 ‘시니스트라 크리티카’의 주요 멤버였고 현재 뉴욕의 ‘뉴스쿨 오브 소셜 리서치’에서 철학 조교수이자 페미니스트 및 사회주의 운동가로 활동하고 있다. 사회적 재생산과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에 대한 많은 연구와 저술을 해 왔고 저서로는 , 등이 있다. 글이 상당히 길어서 2번에 나누어 연.. 2023. 3. 15.
삶 만들기와 사회적 재생산 아사드 하이더Asad Haider, 살라르 모한데시Salar Mohandesi 번역: 두견 공장에서 상품을 생산하는 남성 임금 노동자의 투쟁이 더 중요하고 우선이며 노동계급을 대표한다는 전통적 입장이 어떻게 현실과 어긋나게 되면서 사회적 재생산의 문제가 계급투쟁의 중요한 고리가 되었는지를 역사적이고 이론적으로 분석하는 글이다. 이 글의 필자인 아사드 하이더는 Viewpoint Magazine의 편집자이자 의 저자이다. 살라르 모한데시는 의 편집자이다. 은 마르크스주의의 급진적 재해석과 혁신을 추구하는 ‘전투적 연구집단’이라고 스스로를 규정하고 있다. 출처: https://viewpointmag.com/2015/10/28/making-a-living/ 숨겨진 거주지 몇 가지 사소한 예외를 제외하고는 샤를 .. 2023. 1. 8.
마르크스, 사회적 재생산에 관한 페데리치의 개입 수잔 퍼거슨Susan Ferguson 번역: 두 견 실비아 페데리치(Silvia Federici)가 지난해 출간한 새로운 저서 (PM Press, 2021)에 대한 서평이다. 비록 이 책이 한국에 출간된 것은 아니지만, 이 서평은 자본주의, 마르크스주의, 사회적 재생산 이론에 대한 여러 흥미있는 쟁점들을 짚고 있어서 도움이 될 것이라고 판단해 소개한다. 이 글의 필자인 수잔 퍼거슨(Susan Ferguson)은 사회주의 페미니스트이고 사회적 재생산 이론을 발전시키며 노동력과 노동계급의 사회적 재생산이 작업장을 넘어서서 인종과 젠더의 교차 속에서 이뤄진다는 점을 강조해 왔다. (Women And Work: Feminism, Labour, and Social Reproduction - Pluto, 2020).. 2022. 6. 16.
삶 만들기 인가, 죽음 만들기 인가? 수잔 퍼거슨Susan Ferguson 번역: 두견 팬데믹이 드러낸 자본주의적 생산과 재생산의 모순에 대해 분석하는 이 글은 아직 오미크론 변이가 등장하기 전에 주요 국가들에서 ‘위드 코로나’가 시작되던 지난 10월초에 발표됐다. 이 글의 필자인 수잔 퍼거슨(Susan Ferguson)은 사회주의 페미니스트이고 사회적 재생산 이론을 발전시키며 노동력과 노동계급의 사회적 재생산이 작업장을 넘어서서 인종과 젠더의 교차 속에서 이뤄진다는 점을 강조해 왔다. (Women And Work: Feminism, Labour, and Social Reproduction - Pluto, 2020)의 저자이다. 출처: https://www.midnightsunmag.ca/life-making-or-death-making/ .. 2022. 1. 2.
우리 곁에 있는 “살육(Cannibal) 자본주의” 지난 30년 동안 낸시 프레이저NANCY FRASER는 좌파에게 가장 설득력 있는 아이디어들을 제공해 왔다. 프레이저가 페미니즘에 경제 엘리트와의 관계를 단절하고 억압의 근본 원인을 공격할 수 있는 노동계급 정치를 수용할 것을 요구할 때와 같이 이러한 생각은 때때로 정치적이다. 다른 한편, 프레이저가 자본주의와 자본주의가 의존하지만 완전히 종속적이지는 않은 "배경 조건" 사이의 상호 작용을 분석할 때와 같이 이러한 생각은 때때로 강력하게 이론적이다. 곧 출간할 책에서 프레이저의 최근 작업은, 그녀가 "살육 자본주의"라고 부르는 것의 돌진하는 재앙을 피하기 위해 실천적이고 이론적인 것의 종합을 추구한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자본주의가 삶의 모든 영역에 침범함으로써, 자신의 생존 조건, 그리고 더 중요한.. 2021. 12. 20.
신자유주의 렌즈를 통해 본 노동력과 사회적 재생산 닐 포크너Neil Faulkner 번역: 두견 사회주의 페미니스트들의 뒤를 따라서 사회적 재생산 이론을 더 정교하게 발전시키려는 시도를 담은 글이다. 가치 창출, 노동력 및 사회적 재생산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자본주의에 대한 분석을 확장하려고 한다. 이 글은 이미 앞서 소개한 같은 필자의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의 혁신을 시도하는 글(https://www.anotherworld.kr/990)에서 이어지는 것이고 상호보완적인 내용이다. 이 글의 필자인 닐 포크너Neil Faulkner는 고고학자, 역사학자, 그리고 러시아 혁명의 민중사, 그리고 의 저자이며 활동가이다. 현재 영국에서 ‘반자본주의 저항’Anti*Capitalist Resistance이라는 단체를 결성해 좌파 재결집을 추진하고 있다. 한국에서도 그.. 2021. 11. 19.
상호교차성과 마르크스주의: 비판적 역사기록 애슐리 보러(Ashley Bohrer) 번역: 두견 이 논문의 필자인 애슐리 보러(Ashley Bohrer)는 시카고에 기반을 둔 학자이며 활동가이다. 노트르담Notre Dame 대학의 젠더 및 평화 연구 조교수이다. 우리가 어떻게 억압과 착취 사이의 복합적 관계에 대해 생각할 수 있는가에 대해 탐구해 오면서, 현대 자본주의 아래의 인종, 젠더, 계급, 섹슈얼리티의 상호작용을 분석해 왔다. 이 논문에서 보러는 우리가 현대 권력 관계를 이해할 수 있으려면 자본주의와 제국주의의 구조 안에서 이 모든 측면들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상호교차성 이론과 마르크스주의의 종합을 시도한다. 글이 매우 길고 좀 학술적이고 어렵게 쓰여졌지만,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 상호교차성, 사회적 재생산 등에 대한 고민과 논의를.. 2021. 6. 19.
사회적 재생산에 섹슈얼리티를 위치 짓기 앨런 시어스(Alan Sears) 번역: 두견 근본적인 성적 해방을 위해서는 반자본주의 이론이 필수적이라는 것을 주장하며, 특히 자본주의적 생산과 재생산의 관계에 뿌리를 둔 불평등이 성정치의 지형을 형성하기에 사회적 재생산의 틀 속에서 섹슈얼리티를 위치지어야 한다고 분석하는 글이다. 이 글의 필자인 앨런 시어스(Alan Sears)는 퀴어 운동가, 작가, 사회학 교수이며 성소수자이다. , , 등의 많은 책과 글을 쓴 저자이며, ‘뉴 소셜리스트New Socialist’ 등의 다양한 좌파 단체에서 활동해 왔다. 출처: https://brill.com/view/journals/hima/24/2/article-p138_7.xml MI5[영국에서 일종의 안기부 같은 구실을 하는 정보기구]가 영국의 2016년 ‘스.. 2021. 3. 5.
축적 이론에서 사회적 재생산 이론까지 축적 이론에서 사회적 재생산 이론까지 - 로자 룩셈부르크의 페미니즘 앙키카 차카르디치(Ankica Čakardić) 번역: 두견 이 논문은 로자 룩셈부르크의 정치경제 비평의 틀을 활용해서 여성의 재생산 작업과 축적의 재생산에서 그 역할에 대한 페미니스트적 분석에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려는 시도이다. 이를 위해서 저자는 룩셈부르크의 '공간성의 변증법'과 오늘날 사회적 재생산 이론 사이의 연관성을 보여 주고, 룩셈부르크의 이론이 사회주의 페미니즘과 사회적 재생산 이론을 더 정교하게 발전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증명하려 한다. 이 논문의 저자인 앙키카 차카르디치(Ankica Čakardić)는 크로아티아에 있는 자그레브 대학교의 사회철학 조교수이고, , 등의 책을 썼다. 이 논문에 1/3 가량을 .. 2021. 2. 9.
장애인 노동권과 사회적 재생산 전지윤 [아래 글은 지난 11월 13일에 전장연 노동권위원회가 주최한 토론회에서 필자가 제출한 토론문이다. 그날 토론회는 먼저 ‘권리중심 공공일자리의 의미와 전망’(정창조. 전장연 노동권위원회 간사), ‘권리중심 공공일자리, 어떻게 진행되고 있나?’(정동은. 서울형권리중심공공일자리협력단 사무국장)의 발제가 있었고 이어서 토론자 3명의 의견 제시와 토론으로 이어졌다. 이 날 토론회의 모든 발제문과 토론문들은 ‘노들장애학궁리소’ 홈페이지에 올라 있다.(http://goongree.net/disability_related_data/89679) 의미있고 유익한 토론 자리를 마련하고 기회를 제안해주신 전장연 노동권위원회에 감사드린다] ● 정창조, 정동은 두 분의 발제를 매우 인상적이고 유익하게 보았다. 새로운 내.. 2020. 11.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