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사회주의16 [논쟁] 생태사회주의 그리고/ 또는 탈성장? 미카엘 뢰비(Michael Löwy)번역: 두견 생태주의 좌파는 모든 소비를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하는가, 아니면 널리 퍼져있는 소비 유형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하는가? 이 글의 필자인 미카엘 뢰비(Michael Löwy)는 사회주의 활동가이지 학자로서 (Haymarket 2015)의 저자이고, 파리의 전국과학연구센터(National Center of Scientific Research)에서 사회과학 분야 명예 연구 책임자이다. 출처: https://climateandcapitalism.com/2020/10/08/ecosocialism-and-or-degrowth/ 생태사회주의와 탈성장 운동은 생태주의 좌파의 가장 중요한 경향에 속한다. 생태사회주의자들은 생태학적 붕괴를 피하기 위.. 2021. 1. 12. 생태사회주의 선언 생태사회주의로 가는 평등하고 협력적인 길을 위해! 호주의 생태사회주의자들이 자본주의가 우리 공동의 미래를 파괴하는 것을 막기 위한 새로운 대중 운동을 호소한다. 이 글은 호주의 생태사회주의 신문인 가 9월 24일 발표한 초안이고, 10월 24일부터 25일까지 진행될 '생태사회주의 2020: 반란에서 혁명까지'에 관한 국제회의에서 논의되고 더 발전시켜서 완성될 예정이다.(번역: 두견) 출처: https://climateandcapitalism.com/2020/09/29/egalitarian-cooperative-road-to-ecosocialism/?fbclid=IwAR3mC8B7ER8FtJshPt0tEfxRqePlEX4PyjsAB-oicpemMXJKuDFJSaEOETQ 우리는 기후 비상사태의 한복판에 있.. 2020. 10. 18. 마르크스와 지구: 존 벨라미 포스터 인터뷰 자본주의의 자연 파괴, 마르크스 시대부터 현재까지 생태학적 마르크스주의, 계급 문제로서 환경 위기에 대해 존 벨라미 포스터(John Bellamy Foster)를 인터뷰한 글이다. 비록 이 책이 한국에 출판돼있는 것은 아니지만, 기후위기에 대한 급진적 대안에 대한 고민이 많아지는 상황에서 이 글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판단했다. 포스터는 오리건 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로서 미국의 사회주의 잡지 의 편집자이다. 그는 여러 권의 정치경제학, 제국주의 이론과 관련한 책의 저자이며 무엇보다 마르크스주의 생태학에 관한 이론적 기여와 저술로 유명하다. 한국에도 , , , , 등이 번역돼 있다.(번역: 두견) 출처: https://climateandcapitalism.com/2016/08/22/marx-and-the-ea.. 2020. 9. 26. 기후변화의 재앙과 기후정의 운동의 과제 지난해 연말 프랑스 파리에서 유엔 기후변화 정상회의(공식 명칭 ‘제21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1])가 열렸다. 각국 정부와 주류언론은 이 회의에서 지구온난화를 일으키는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한 “야심찬(ambitious)” 협정이 체결됐다고 말한다. 당시 많은 ‘기후정의’ 활동가들은 11월 13일의 파리 테러 이후 프랑스 정부가 시위를 금지하는 상황 속에서도 대안적 전망을 요구하며 행동했다. 그들은 주요 국가 정부들이 고려한 것보다 더 나아간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미국의 사회주의자인 필 개스퍼가 이안 앵거스(Ian Angus)를 인터뷰해서 파리 기후협약 이후의 전망과 기후 정의 운동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들었다. 이안 앵거스는 캐나다 활동가이자 생태사회주의자 저널 의 편집자이고 .. 2016. 3. 7.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