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탈8 제국주의적 몰수, 국제 돌봄 사슬: 낸시 프레이저 인터뷰 – 2 낸시 프레이저는 뉴욕에 있는 뉴스쿨 포 소셜 리서치(New School for Social Research) 의 철학 및 정치학 교수로 사회, 정치, 페미니즘 이론을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국내에도 로 출판) 등이 있다. 이 인터뷰에서 프레이저는 현대 제국주의에서 자연의 부와 돌봄의 이전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자본 축적에서 몰수의 계속되는 역할, 금융화된 자본주의에서 중심부와 주변부의 경계가 점점 더 모호해지는 본질에 대해 이야기한다. 두 번에 나누어 연재한다. 이 글은 두 번째이며 마지막이다.(번역: 두견)출처: https://links.org.au/imperialist-expropriation-global-care-chains-and-shifting-core-periphery-boundaries.. 2024. 7. 14. 제국주의적 몰수, 국제 돌봄 사슬: 낸시 프레이저 인터뷰 - 1 낸시 프레이저는 뉴욕에 있는 뉴스쿨 포 소셜 리서치(New School for Social Research) 의 철학 및 정치학 교수로 사회, 정치, 페미니즘 이론을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국내에도 로 출판) 등이 있다. 이 인터뷰에서 프레이저는 현대 제국주의에서 자연의 부와 돌봄의 이전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자본 축적에서 몰수의 계속되는 역할, 금융화된 자본주의에서 중심부와 주변부의 경계가 점점 더 모호해지는 본질에 대해 이야기한다. 두 번에 나누어 연재한다. 이 글은 첫 번째이다.(번역: 두견)출처: https://links.org.au/imperialist-expropriation-global-care-chains-and-shifting-core-periphery-boundaries-inter.. 2024. 6. 28. 이른바 ‘원시적(시초적) 축적'의 의미 이안 앵거스(Ian Angus) 번역: 두견 마르크스의 에서 나온 이 핵심 개념은 널리 오해받아 왔다고 이안 앵거스ian angus는 말한다. 이 논쟁적인 문제에서 앵거스는 마르크스의 오류와 엄밀하지 못함을 지적하기 보다는 다른 사람들이 그것을 오해하고 잘못 해석했다는 것에 강조점을 두는 설명을 하고 있다. 이안 앵거스(Ian Angus)는 온라인 저널인 의 편집자로서, '먼슬리리뷰'(Monthly Review)에서 출판된 와 을 포함한 여러 책의 저자이다. 그는 '지구적 생태사회주의자 네크워트'(Global Ecosocialist Network)의 창립 멤버이다. 한국에도 그의 글과 책들은 번역 소개돼 있다. 출처: https://climateandcapitalism.com/2022/09/05/so-c.. 2022. 12. 11. 사회적 재생산에 섹슈얼리티를 위치 짓기 앨런 시어스(Alan Sears) 번역: 두견 근본적인 성적 해방을 위해서는 반자본주의 이론이 필수적이라는 것을 주장하며, 특히 자본주의적 생산과 재생산의 관계에 뿌리를 둔 불평등이 성정치의 지형을 형성하기에 사회적 재생산의 틀 속에서 섹슈얼리티를 위치지어야 한다고 분석하는 글이다. 이 글의 필자인 앨런 시어스(Alan Sears)는 퀴어 운동가, 작가, 사회학 교수이며 성소수자이다. , , 등의 많은 책과 글을 쓴 저자이며, ‘뉴 소셜리스트New Socialist’ 등의 다양한 좌파 단체에서 활동해 왔다. 출처: https://brill.com/view/journals/hima/24/2/article-p138_7.xml MI5[영국에서 일종의 안기부 같은 구실을 하는 정보기구]가 영국의 2016년 ‘스.. 2021. 3. 5. 계급의 재고찰: 프롤레타리아화와 불안정성 브라이언 D. 팔머(BRYAN D. PALMER) 노동계급은 강탈의 다양한 형태에 의해 분열되어 왔지만, 노동계급의 강력함은 집단적인 단결과 연대의 힘에서 나온다. 이 글은 임금노동과 작업장을 중심으로 보는 기존 좌파들의 협소한 관점을 넘어서 더 포괄적인 관점에서 계급과 계급투쟁을 분석하려 시도하고 있다. 비임금 노동 등을 분석해 온 페미니스트들의 주장과도 연결되는 이런 포괄적인 관점이 맑스의 원래 취지에 더 부합한다고 주장한다. 불안정성을 주목하는 프레카리아트론도 이런 분석 속에 비판적으로 종합하고 있다. 이 글의 저자인 브라이언 D. 팔머는 캐나다에서 활동하고 있고 주요 저서로 (Revolutionary Teamsters: The Minneapolis Truckers’ Strikes of 1934)가.. 2016. 8. 27. 불안정 이주민들: 젠더, 인종과 세계노동계급의 사회재생산 2 수잔 퍼거슨(Susan Ferguson), 데이비드 맥낼리(David McNally) [이 글은 노동력과 노동계급의 사회적 재생산(또는 사회재생산)이 작업장을 넘어서서 인종과 젠더의 교차 속에서 이뤄진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오늘날 그것이 이주노동을 통한 국제적 과정이라는 점을 구체적 분석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 이 과정을 통해서 자본과 국가가 어떻게 노동계급을 분열시켜 커다란 이익을 얻고 있는지 분석하며, 인종과 젠더 문제를 통합하는 계급투쟁의 전략에 대한 고민을 던진다. 마르크스주의 혁신 시도를 보여 주는 이 논문은 (2014)에 처음으로 실렸었다.(Precarious Migrants: Gender, Race and the Social Reproduction of a Global Working.. 2016. 5. 12. 불안정 이주민들: 젠더, 인종과 세계노동계급의 사회재생산 1 수잔 퍼거슨(Susan Ferguson), 데이비드 맥낼리(David McNally) [이 글은 노동력과 노동계급의 사회적 재생산(또는 사회재생산)이 작업장을 넘어서서 인종과 젠더의 교차 속에서 이뤄진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오늘날 그것이 이주노동을 통한 국제적 과정이라는 점을 구체적 분석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 이 과정을 통해서 자본과 국가가 어떻게 노동계급을 분열시켜 커다란 이익을 얻고 있는지 분석하며, 인종과 젠더 문제를 통합하는 계급투쟁의 전략에 대한 고민을 던진다. 마르크스주의 혁신 시도를 보여 주는 이 논문은 (2014)에 처음으로 실렸었다.(Precarious Migrants: Gender, Race and the Social Reproduction of a Global Working.. 2016. 5. 6. 강탈당한 이들의 단결 브라이언 D. 팔머(Bryan D. Palmer) 언제나 노동계급은 강탈의 다양한 형태에 의해 분열되어 왔다. 그리고 노동계급의 강력함은 집단적인 힘에서 나온다. 이 글은 임금노동과 작업장을 중심으로 보는 협소한 관점을 넘어서 더 포괄적인 관점에서 계급과 계급투쟁을 분석하려 시도하고 있다. 이 글의 저자인 브라이언 D. 팔머는 캐나다에서 활동하고 있고 주요 저서로 (Revolutionary Teamsters: The Minneapolis Truckers’ Strikes of 1934)가 있다. 번역해 준 김민재 동지에게 감사드린다. 출처: https://www.jacobinmag.com/2015/07/palmer-marx-precarity-class-struggle/ 2011년 이집트 혁명에서 주역이었던.. 2016. 1. 2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