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우츠키12 카우츠키, 레닌, 스탈린, 혁명적 러시아 폴 르블랑PAUL LE BLANC 번역: 두 견 이 글은 (에릭 블랑Eric Blanc, 2022)과 (로날드 그레고르 수니Ronald Grigor Suny, 2020) 두 권의 책에 대한 논평이다. 그러면서 ‘러시아 혁명과 레닌주의’에 관련된 여러 논점들을 살펴본다. 비록 위 2권의 책이 한국에 출판된 것은 아니고 르블랑의 논평은 다소 혼란스럽지만, 2권 모두 기존의 정통적 해석에 도전하는 중요한 저작이고 러시아 혁명에 대한 재평가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여러 논점들을 소개한다는 측면에서 유익할 것이다. 이 글의 필자인 폴 르블랑(Paul Le Blanc)은 역사가이자 사회주의 활동가로서 다양한 급진좌파 조직에서 활동했고 의 저자로 유명하고 그 밖에도 많은 책을 썼다. 국역된 저서로 이 있다. 출처: h.. 2023. 1. 24. 1917년에 레닌의 네 가지 도박 라스 리Lars T Lih 번역: 두 견 혁명을 이루기로 한 볼셰비키의 결정은 국제 혁명, 소비에트 민주주의, 농민들의 충성, 사회주의를 향한 진보라는 네 가지 주요 예측 즉, "도박"에 바탕을 두고 있었다고 라스 T 리는 말한다. 이 글에서 라스 리는 또다시 역사적 기록을 치밀하게 살펴보면서 정설에 도전한다. 라스 리는 러시아어 원자료와 구체적인 상황과 맥락에 입각한 러시아 혁명과 ‘레닌주의’에 대한 혁신적 재해석으로 주목받아 왔고, 수많은 책과 논문을 쓴 역사학자이다. 그의 대표적인 저서로는 (1990), (2006) 등이 있다. 출처: https://weeklyworker.co.uk/worker/785/the-four-wagers-of-lenin-in-1917/ 나는 1917년에 레닌이 한 '네 가.. 2022. 1. 14. 레닌, 카우츠키, 그리고 1914년 라스 리(Lars T Lih)번역: 두견 라스 리가 제1차 세계대전 발발 당시 독일 사회민주주의의 배신에 대한 레닌의 반응을 자세히 살펴본다. 이 글에서 라스 리는 또다시 역사적 기록을 치밀하게 살펴보면서 정설에 도전한다. 레닌과 트로츠키 등이 마르크스주의를 새롭게 혁신했다고 하는 많은 아이디어들이 사실은 카우츠키에게서 비롯했다는 것이다. 라스 리는 러시아어 원자료와 구체적인 상황과 맥락에 입각한 러시아 혁명과 ‘레닌주의’에 대한 혁신적 재해석으로 주목받아 왔고, 수많은 책과 논문을 쓴 역사학자이다. 그의 대표적인 저서로는 (1990), (2006) 등이 있다. 출처: https://weeklyworker.co.uk/worker/784/lenin-kautsky-and-1914/ 우리는 모두 레닌이 독일 .. 2020. 12. 24. 레닌과 카우츠키: 마지막 시기 라스 리(LARS T. LIH)번역: 두견 [이 글에서 라스 리는 다시 한번 신화와 정설에 도전한다. 그것은 레닌은 일찍부터 무의식적으로 카우츠키와 단절해서 독창적인 사상을 발전시켰고, 특히 1914년 이후에는 의식적으로 그랬다는 주장들이다. 반면 치밀한 조사와 탐구를 통한 라스 리의 결론은 전혀 다르다. 레닌은 카우츠키가 던져버린 사상과 전략의 충실한 수호자로 끝까지 남았다는 것이다. 이 글의 필자인 라스 리는 러시아어 원자료와 구체적인 상황과 맥락에 입각한 러시아 혁명과 ‘레닌주의’에 대한 혁신적 재해석으로 주목받아 왔고, 수많은 책과 논문을 쓴 역사학자이다. 그의 대표적인 저서로는 (1990), (2006) 등이 있다.] 출처: http://www.isreview.org/issues/59/feat-.. 2020. 8. 3. 민족해방과 볼셰비즘의 재검토: 변경에서의 관점 - 1 에릭 블랑(Eric Blanc)번역: 두견 이 글은 오랫동안 정설로 굳혀져 있던 러시아 혁명과 레닌주의에 대한 중요한 신화에 도전한다. 그것은 레닌과 볼셰비키가 소수민족의 억압과 민족해방의 문제에서 계급문제와 민족문제를 효과적으로 결합시키며 이론과 전략을 발전시킨 선구자라는 주장이다. 이 논문은 그것이 사실이 아니며 오히려 러시아 변경지대의 사회주의자들이 그런 구실을 했고 레닌과 볼셰비키는 그것에 많은 부분 대치되는 입장을 취했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그것을 통해서 오늘날 좌파가 계급, 민족, 인종, 젠더 등을 교차적이면서도 통합적으로 사고하고 실천할 수 있는 방향에 대한 고민의 단초를 던져주고 있다. 이 글의 필자인 에릭 블랑은 미국 민주적 사회주의자들(DSA) 소속의 사회주의 이론가이자 활동가이며.. 2020. 5. 31. 사회변혁의 전략 논쟁과 러시아 혁명의 재평가 [근래 미국에서는 좌파진영을 중심으로 사회변혁의 전략에 대한 매우 흥미롭고도 중요한 논쟁들이 벌어지고 있다. 여성차별, 인종차별, 환경파괴 등에 맞서는 다양한 운동들의 성장, 노동자 파업 물결의 부활, 버니 샌더스와 민주적사회주의자들(DSA)의 급부상 등이 이런 논쟁을 촉발시키고 있다. 이 치열한 논쟁 속에서 러시아 혁명에 대한 재평가, ‘레닌주의’적 사회변혁 전략과 카우츠키의 위상 등도 중요한 논점이 되고 있다. 우리는 이와 관련된 글들을 계속 번역, 소개해 나갈 예정이다. 먼저 처음으로 DSA 소속의 사회주의 이론가이자 활동가인 에릭 블랑이 카우츠키가 제시한 전략을 옹호하며 ‘레닌주의’를 비판하는 글과 그것을 반박하면서 러시아 혁명과 레닌주의 전략 자체가 그동안 어떻게 곡해돼 왔는지 설명하는 라스 리.. 2019. 10. 2. 감히 시도해 본 볼셰비키: 라스 리와의 인터뷰 - 2 라스 리(Lars T. Lih)는 러시아어 원자료와 구체적인 상황과 맥락에 입각한 러시아 혁명과 ‘레닌주의’에 대한 혁신적 재해석으로 주목받아 왔고, 수많은 책과 논문을 쓴 역사학자이다. 그의 대표적인 저서로는 (1990), (2006) 등이 있다. 우리는 이미 라스 리의 주요한 논문들을 많이 번역해서 소개해 왔는데, 지난해 초에 있었던 이 인터뷰는 라스 리의 주장을 더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인터뷰에서 라스 리는 또다시 기존의 정설적 해석에 비판적 의문을 제기하면서 러시아 혁명과 ‘레닌주의’에 대한 혁신적인 접근법을 제시하고 있다. 분량이 길어서 2번에 나누어 싣고 이 글은 2편이다.(번역: 두견) 출처:https://newsocialist.org.uk/the-bolsheviks.. 2019. 1. 2. 감히 시도해 본 볼셰비키: 라스 리와의 인터뷰 - 1 라스 리(Lars T. Lih)는 러시아어 원자료와 구체적인 상황과 맥락에 입각한 러시아 혁명과 ‘레닌주의’에 대한 혁신적 재해석으로 주목받아 왔고, 수많은 책과 논문을 쓴 역사학자이다. 그의 대표적인 저서로는 (1990), (2006) 등이 있다. 우리는 이미 라스 리의 주요한 논문들을 많이 번역해서 소개해 왔는데, 올해 초에 있었던 이 인터뷰는 라스 리의 주장을 더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인터뷰에서 라스 리는 또다시 기존의 정설적 해석에 비판적 의문을 제기하면서 러시아 혁명과 ‘레닌주의’에 대한 혁신적인 접근법을 제시하고 있다. 분량이 길어서 2번에 나누어 실을 것이고 이 글은 1편이다.(번역: 두견) 출처: https://newsocialist.org.uk/the-bolshe.. 2018. 12. 22. 당과 계급: 카우츠키는 ‘레닌주의’를 옹호했는가? [국제적 좌파들 속에서 역사학자인 라스 리(Lars Lih)의 선구적 작업 속에 ‘레닌주의’에 대한 재해석이 진행돼 왔다. 레닌과 카우츠키의 관계도 그 쟁점 중에 하나였는데, 아래 글들은 특히 당 개념에서 레닌과 카우츠키가 차이점보다는 공통점이 많았다는 점을 설명하며 기존의 정설에 도전하고 있다. 먼저 캘리포니아 오클랜드에서 활동하는 활동가이자 역사학자이며 볼셰비키와 민족문제에 대한 연구로 유명한 에릭 블랑(Eric Blanc)이 주장을 펼치고, 라스 리가 보완적 답변을 하고 있다. 번역에 수고해 준 김민재 동지에게 감사드린다. 우리는 러시아 혁명 100주년을 맞아서 이처럼 관련된 글을 지속적으로 다룰 계획이다.] https://johnriddell.wordpress.com/2016/05/24/party.. 2017. 8. 28. 1917년의 기원: 카우츠키, 국가, 러시아 혁명 에릭 블랑(Eric Blanc)번역: 미래 이 기사는 초기 칼 카우츠키와 제정 러시아 전역의 혁명적 사회민주주의자들이 주장했던 국가와 혁명에 대한 전망을 재검토한다. 일반적인 오해와 달리, 이 "정통파" 마르크스주의자들은 자본주의 국가를 사회주의 체제 전환을 위해 평화적이고 점진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고 보지 않았다. 따라서 제2인터내셔널의 "정설"은 볼셰비키가 반자본주의적 권력 장악을 이끄는 데에 충분한 정치적 근거가 됐고, 레닌이 에서 카우츠키를 뛰어넘은 새로운 이론을 제시했다는 통설은 별 근거가 없다는 것이다. 이 글의 필자인 에릭 블랑은 캘리포니아 오클랜드에서 활동하는 활동가이자 역사학자이며 볼셰비키와 민족문제에 대한 연구로 유명하다. 우리는 러시아 혁명 100주년을 맞아서 이처럼 관련된 글을 지속.. 2017. 7. 25. 잃어버린 투쟁과 연대의 역사 에릭 블랑(Eric Blanc) [맑스주의의 역사는 비록 약점이 있기는 했지만, 단지 ‘백인 남성 공장 노동자’만이 아니라 모든 억압받는 사람들을 옹호하며 함께 투쟁해 온 기억을 가지고 있으며, 이것을 되살려야 한다고 강조하는 글이다. 특히 그 악명과 달리 카우츠키가 앞장 서 이런 방향을 제시했었고 1905년 러시아 혁명에서 이것이 실천에 적용됐었던 점을 지적한다. 이 글의 필자인 에릭 블랑(Eric Blanc)은 캘리포니아 오클랜드에서 활동하는 활동가이자 역사학자이며 볼셰비키와 민족문제에 대한 연구로 유명하다. 번역에 수고해 준 김민재 동지에게 감사드린다.] 출처: https://www.jacobinmag.com/2016/08/marxism-class-white-workers-socialists-rac.. 2016. 12. 27. 마르크스주의와 역사의 멜로드라마: 라스 리 인터뷰 러시아 혁명과 ‘레닌주의’의 역사를 재평가하고 재해석한 라스 리(Lars T. Lih)의 작업은 마르크스주의자들과 그 역사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 사이에서 상당한 토론과 논쟁을 촉발했다. [미국의 좌파 재결집을 표방하는 사이트]의 편집자 다리오 캔코빅(Dario Cankovic)이 한 이 인터뷰는 리의 생각과 오늘날 좌파에게 그것이 가지는 시의적절성을 이끌어내기 위한 것이었고 2013년 6월에 이루어졌다. 라스 리는 퀘벡의 몬트리올에서 일하고 거주한다. 그는 맥길대학교의 슐리히 음학부 음악학 부교수이며, 러시아 역사와 사회주의의 역사에 대한 많은 글을 써 왔다. 그의 저서로는 (1990), (2006), 그리고 평전 (2011)이 있다. 그의 온라인 글들에 대한 링크는 https://johnriddell... 2016. 2. 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