억압과 차별111 사회재생산 이론이 여성억압을 잘 설명하는가? 낸시 린디스판 (Nancy Lindisfarne), 조너선 닐 (Jonathan Neale)번역: 박상우 사회재생산(또는 사회적 재생산) 이론은 여성 억압과 차별을 설명하기 위한 마르크스주의의 혁신 시도중 하나다. 하지만 낸시 린디스판 (Nancy Lindisfarne)과 조너선 닐 (Jonathan Neale)은 사회재생산 이론 (Social Reproduction Theory)의 단점을 비판하며 , 성별 간의 생물학적 차이에 과도하게 의존하지 않는 대안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이 글이 관련 논의의 심화 발전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사회재생산 이론이 무엇인지 궁금한 분은 황정규 동지가 참고삼아 번역해 놓은 글을 참고해 볼 수 있다.(링크) 링크를 허락해 준 황정규 동지에게 감사드린다. 출처: http.. 2015. 3. 9. 억압과 착취, 마르크스주의와 ‘상호교차성’ 샤니스 맥빈 (Shanice McBean)번역: 박상우 출처: http://rs21.org.uk/2013/08/13/what-is-intersectionality/ [억압에 저항하는 새로운 운동들과 함께 등장한 새로운 용어들이 있다. ‘상호교차성’은 그 용어들 중 가장 두드러지는 개념이다. 영국 RS21(Revolutionary Socialism in the 21st Century)의 샤니스 맥빈 (Shanice McBean)이 이 용어에 대한 이해와 마르크스주의 이론과의 연관성을 설명한다.] 상호교차성이 이야기하는 세 가지 핵심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는 모든 형태의 억압에 맞서 싸워야 한다. 둘째, 자본주의 체제하에서 한 사람의 경험은 다른 사람의 경험과 다르다. 왜냐하면 각자가 처한 억압과 착취.. 2015. 2. 17. 맑스주의, 페미니즘 그리고 여성해방 [역자주] 이글은 2013년 1월 31일 미국의 신문에 실렸다.http://socialistworker.org/2013/01/31/marxism-feminism-and-womens-liberation 이글은 곧 재발행 예정인 ‘여성과 사회주의: 여성 해방에 관한 에세이들’의 저자인 샤론 스미스가 2012년 시카고에서 열린 ‘소셜리즘 2012’ 컨퍼런스에서 발제한 내용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이 글에서 스미스는 여성 억압을 끝장내기 위한 투쟁에 맑스주의 전통이 어떻게 접근해 왔는지 그리고 다른 이론들을 어떻게 다뤄왔는지를 살펴본다. 샤론 스미스(번역: 남수경) 1917년 러시아 혁명 후 여성부(제노텔)의 초대 리더였던 이네싸 아르망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공산주의 없이 여성 해방을 생각할 수 없다면, 여성.. 2014. 11. 29. 이전 1 ··· 7 8 9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