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론의 혁신252

세계의 노동자들과 투쟁의 미래 비버리 실버(Beverly J. Silver)번역: 김민재 출처: https://www.jacobinmag.com/2016/09/workers-of-the-world/ 1920년대 노동조합 활동가들에게는 낙관적인 태도를 가질 이유가 별로 없었다. 전쟁 이후의 소요 가운데에서 치솟았던 노동조합 조직률은 절정에 다다른 후 급락했다. 논평가들은, 기술적 그리고 문화적 변화로 인해 노동운동은 ‘더 이상 필요 없는 구시대의 유물이 되었고 노동자들은 냉담해졌다’고 요란을 떨었다. “젊은 조합원들은 특히 노동조합을 시대에 뒤쳐졌다고 보고 있다.” 한 노동조합 관료는 1920년대 중반에 이렇게 한탄했다. 그러나 10년 후 나라 전체에 걸쳐 생산을 봉쇄하는 파업이 벌어졌고, 노동조합 조직률이 급등했다. 오래동안 노동운동.. 2017. 3. 9.
'국제사회주의 전통'을 돌아보기 데이빗 렌턴(David Renton) [오늘날 국제적 차원에서 혁명적 좌파는 여러 어려움들을 겪고 있는 게 사실이다. 이것을 벗어나기 위해서는 많은 성찰과 토론이 필요할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국제사회주의경향(International Socialist Tendency)의 대표적 조직인 영국 사회주의노동자당(SWP)의 분열과 위기는, 오늘날 사회변혁을 지향하는 좌파들에게 여러 가지 교훈을 던져 왔다. 아래 글은 2013년에 SWP 내부 논쟁 과정에서 나온 글로서, SWP가 ‘레닌주의’ 모델을 택하면서 벌어진 변화를 설명하고 있다. 지도부가 전술적 변화의 판단을 독점하며 이견에 개방적이고 관대하지 않는 문화가 형성된 것이 변화된 현실에 대한 새롭고 혁신적인 접근을 가로막았다는 것이다. 번역에 수고해 준 이상.. 2017. 2. 6.
레닌주의를 넘어서 루크 쿠퍼(Luke Cooper) [올해는 러시아 혁명 100주년이 되는 해이고, 관련해서 레닌과 레닌주의의 문제도 쟁점이 되고 있다. 이 글은 ‘레닌주의’라고 정식화돼 많은 좌파들이 지향해 온 조직 이론과 모델이 어떤 심각한 문제를 낳아왔는지 다루고 있다. 러시아 혁명 초기에 엄혹한 상황 속에서 정치적 다원성을 차단하고 당과 지도부의 하달식 지도를 통해 혁명을 지키고자 한 시도가 권위주의라는 문제를 낳았고 ‘아래로부터 사회주의’와 어긋나게 되었다는 것이다. 레닌주의를 둘러싼 여러 논란들을 종합적으로 다루는 이 글의 필자인 루크 쿠퍼(Luke Cooper)는 영국의 사회주의자로서 사이먼 하디(Simon Hardy)와 함께 등을 썼고, ‘반자본주의 경향’(Anticapitalist Initiative)에서.. 2017. 1. 27.
신자유주의는 정치적 프로젝트다 데이비드 하비(David Harvey) 인터뷰 11년 전 데이비드 하비(David Harvey)는 라는 책을 썼고 이 책은 지금 해당 주제에 대해 가장 자주 인용되는 책들 중 하나이다. 그 이후 몇 년간 새로운 경제 위기 및 금융 위기도 있었지만, 새로운 저항의 물결 역시 있었고 이런 물결들은 오늘날의 사회를 비판하면서 스스로 종종 “신자유주의”를 표적으로 삼았다. 코넬 웨스트(Cornel West)는 ‘흑인의 생명도 소중하다’(Black Lives Matter) 운동을 “신자유주의 권력에 대한 고발”이라고 이야기했다. 故 휴고 차베스는 신자유주의를 “지옥으로 가는 길”이라고 이야기했다. 그리고 노동운동 지도자들은 작업장 투쟁이 일어나는 보다 큰 배경을 묘사하기 위해 이 용어를 점점 더 자주 사용하고 있.. 2017. 1. 20.
잃어버린 투쟁과 연대의 역사 에릭 블랑(Eric Blanc) [맑스주의의 역사는 비록 약점이 있기는 했지만, 단지 ‘백인 남성 공장 노동자’만이 아니라 모든 억압받는 사람들을 옹호하며 함께 투쟁해 온 기억을 가지고 있으며, 이것을 되살려야 한다고 강조하는 글이다. 특히 그 악명과 달리 카우츠키가 앞장 서 이런 방향을 제시했었고 1905년 러시아 혁명에서 이것이 실천에 적용됐었던 점을 지적한다. 이 글의 필자인 에릭 블랑(Eric Blanc)은 캘리포니아 오클랜드에서 활동하는 활동가이자 역사학자이며 볼셰비키와 민족문제에 대한 연구로 유명하다. 번역에 수고해 준 김민재 동지에게 감사드린다.] 출처: https://www.jacobinmag.com/2016/08/marxism-class-white-workers-socialists-rac.. 2016. 12. 27.
볼셰비즘과 혁명적 사회민주주의 라스 리 [내년은 러시아 혁명 100주년이 되는 해이다. 관련해서 러시아 혁명의 의의와 교훈에 대한 기존의 평가를 재검토하려는 노력과 시도를 계속하고자 한다. 역사학자인 라스 리(Lars T. Lih)가 책을 중심으로 볼셰비키와 사회민주주의와의 관계, ‘새로운 종류의 당’에 대한 기존 통설을 재해석한다. 레닌은 독일 사회민주당을 바람직한 모델로 생각했고, 그것과 대립되는 새로운 모델을 개발한 적이 없다는 것이다.라스 리는 러시아어 원자료와 구체적인 상황과 맥락에 입각한 ‘레닌주의’에 대한 재해석으로 주목받아 왔고 등의 책을 썼다. 번역에 수고해 준 김민재 동지에게 감사드린다.] 출처: http://links.org.au/node/2905 레닌의 소책자 (그가 마지막으로 쓴, 기사 이상의 분량이 되는 글).. 2016. 9. 26.
레닌의 당은 어떻게 ‘볼셰비키’ 당이 되었는가 라스 T. 리 내년은 러시아 혁명 100주년이 되는 해이다. 관련해서 러시아 혁명의 의의와 교훈에 대한 기존의 평가를 재검토하려는 노력과 시도를 계속하고자 한다. 레닌과 볼셰비키가 “새로운 유형의 당”을 만들기 위해 러시아 혁명조직으로부터 멘셰비키들을 배제하였다는 것은 그동안 좌파들 사이에 통설이 돼 있었다. 라스 리가 이 통설에 의문을 제기하며 새로운 해석을 제기한다. 라스 리는 러시아어 원자료와 구체적인 상황과 맥락에 입각한 ‘레닌주의’에 대한 재해석으로 주목받아 왔고 등의 책을 썼다. 번역에 수고해 준 김민재 동지에게 감사드린다. 출처: http://links.org.au/node/2874 1898년부터 ‘Rossiiskaia sotsial-demokraticheskaia rabochaia part.. 2016. 9. 8.
계급의 재고찰: 프롤레타리아화와 불안정성 브라이언 D. 팔머(BRYAN D. PALMER) 노동계급은 강탈의 다양한 형태에 의해 분열되어 왔지만, 노동계급의 강력함은 집단적인 단결과 연대의 힘에서 나온다. 이 글은 임금노동과 작업장을 중심으로 보는 기존 좌파들의 협소한 관점을 넘어서 더 포괄적인 관점에서 계급과 계급투쟁을 분석하려 시도하고 있다. 비임금 노동 등을 분석해 온 페미니스트들의 주장과도 연결되는 이런 포괄적인 관점이 맑스의 원래 취지에 더 부합한다고 주장한다. 불안정성을 주목하는 프레카리아트론도 이런 분석 속에 비판적으로 종합하고 있다. 이 글의 저자인 브라이언 D. 팔머는 캐나다에서 활동하고 있고 주요 저서로 (Revolutionary Teamsters: The Minneapolis Truckers’ Strikes of 1934)가.. 2016. 8. 27.
노동운동 - 평조합원들을 급진화시키기 이것은 영국 rs21(21세기 혁명적 사회주의자들)의 회원인 아닌디야 바타차리야(Anindya Bhattacharyya)와 Ray M이 최근 미국의 맑스주의 노동사학자 킴 무디(Kim Moody)를 만나 긴 시간동안 자세하게 진행했던 대담을 발췌한 것이다. 무디는 과거 미국 민주학생연합(Students for a Democratic Society)에서 활동했고, 미국 국제사회주의자(the US International Socialists)의 일원이기도 했으며, 나중에는 자신이 설립한 국제적으로 저명한 노동운동 저널인 의 편집위원회에서 1979년부터 2001년까지 활동했다. 그는 또한 (Verso, 1988), (Verso, 1997), (New Press, 2007), (Verso, 2007)을 포함한 .. 2016. 8. 25.
“우리는 꿈꾸어야 한다!” “우리는 꿈꾸어야 한다!” - 레닌의 후기 활동에서 의 메아리 라스 T. 리 이 글은 라스 리가 레닌과 에 대해서 한 강연의 내용이다. 강연은 2010년 6월 시카고에서 열린, 미국 국제사회주의조직(International Socialist Organization)의 ‘사회주의 2010’(Socialism 2010)에서 이뤄졌다. 라스 리는 러시아어 원자료와 구체적인 상황과 맥락에 입각한 ‘레닌주의’에 대한 재해석으로 주목받아 왔고 등의 책을 썼다. 번역에 수고해 준 김민재 동지에게 감사드린다. 출처: http://links.org.au/node/1980 레닌의 를 다시 볼 기회를 갖게 되어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더군다나 제가 레닌의 생애 전체에 대한 전기 연구를 막 마친 시점에 말입니다. 제가 발견한 .. 2016. 6. 20.
어려운 이야기를 피하지 않기 - 노동운동의 전략적 위기, 조직화와 동원의 차이에 대해 제인 매칼리비(Jane McAlevey) & 미하우 로즈보스키(Michal Rozworski) 번역: 윤미래·김민재 미국 노동운동의 활동가와 연구자가 노동운동의 위기와 해결 방향에 대해서 대담한 내용을 정리한 이 글은 한국 노동운동의 위기와 해결 방향에 대해서도 많은 영감을 주고 도움이 될 것이다. 제인 매칼리비는 조직가이자 의 저자이다. 미하우 로즈보스키는 밴쿠버 지역에서 주로 활동하는 연구자로 라는 블로그를 운영한다.(http://rozworski.org/political-eh-conomy/) 번역에 수고해 준 류한수진·김민재 동지에게 크게 감사드린다. 출처: https://www.jacobinmag.com/2015/10/strike-chica.. 2016. 5. 16.
‘아래로부터의 사회주의’라는 시대정신 ‘아래로부터의 사회주의’라는 시대정신: ‘소련 이후’의 사회주의에 대한 짧은 생각 윤미래 소련 이후의 시대에 맑스주의자로 산다는 건 쉬운 일이 아니다. 1980년대 후반 동구권 사회주의가 붕괴하면서 세계 계급투쟁의 판세는 크게 바뀌었고, 맑스주의는 공식적으로 실패한 이념이라 선언되었다. 프랜시스 후쿠야마는 역사의 종언을 선포했다. 한국의 운동은 90년대 중반까지 조금 더 명맥을 유지했지만 이내 체제내화의 길을 밟기 시작했다. 사회주의는 아주아주 별난 사람들이나 쓰는 케케묵은 사어가 되었고, 우리 세대는 자본주의 체제가 인류의 유일한 대안이라는 것을 사회적 상식으로 알고 살았다. 이 시대에 사회주의자로 산다는 것은, 역사적인 시류의 한 자락에 올라타는 것이 아니라 시류를 거스르는 ‘미친놈’이 되는 것을 감.. 2016. 4.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