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론의 혁신252

신자유주의와 노동운동 - 새로운 투쟁의 도약을 위해 1 전지윤 [이 글은 그동안 ‘변혁재장전’에서 진행한 여러 세미나에서 토론하고 자극과 도움을 받지 않았다면 쓸 수 없었을 것이며 결코 개인적 성과물이 아니다. 이 세미나에 기여해 왔고, 이 글을 쓸 수 있도록 격려와 많은 지원을 해준 준비위원들을 중심으로 한 여러 동지들께 정말 감사드린다. 초고에 대한 조언과 토론을 해 준 이상수, 이승현 동지에게 특히 감사드린다. 신자유주의가 가져 온 변화, 노동운동의 위기와 후퇴, 새로운 투쟁의 도약을 위해 필요한 방향 등을 다룬 꽤 분량이 긴 이 글을 세 차례에 나눠서 연재할 예정이다. 이 글은 그 첫번째이고 원래 있던 각주는 일단 다 생략했다.] 90년대 초중반만 해도 이 나라에서 ‘신자유주의’라는 단어는 익숙하지 않았다. 일부 좌파들이 자신들이 가진 지식을 과시하며.. 2015. 10. 21.
왜 '아래로부터 사회변혁'이 그토록 중요한가 댄 스와인(Dan Swain)번역: 전지윤 [rs21 활동가인 댄 스와인이 왜 '아래로부터 사회주의'가 그토록 중요한 사회변혁 운동의 핵심 원칙인지 설명한다. 많은 사람들이 이 원칙을 간과하고 있거나, 말로만 중요하다고 하면서 엉뚱하게 해석하고 제대로 실천하지 못하는 게 현실이다. 우리가 정말로 자유롭고 해방된 세상을 원하다면 '위로부터'의 요소를 철저히 배격하고, 이 원칙으로 돌아가서 깊이있게 고민해 봐야만 한다. 이 글은 2015년 여름 rs21(Revolutionary Socialism in the 21st Century) 잡지에 처음으로 실렸다. 이 글을 꼼꼼히 교정봐 준 남수경 동지에게 감사한다.] 출처: http://rs21.org.uk/2015/07/11/socialism-from-below.. 2015. 9. 25.
사회변혁을 위한 정치적 원칙은 어떠해야 하는가 번역팀 아래 글들은 해외 일부 극좌파 조직들의 기본 입장(정치적 원칙)들을 번역한 것이다. 이 글들이 사회변혁을 위한 운동과 조직 건설을 꿈꾸는 사람들의 고민과 모색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 rs21의 기본 입장 우리가 생각하는 것 [영국 ‘21세기 혁명적 사회주의’(rs21: Revolutionary Socialism in the 21st Century) 조직의 기본 입장이며 출처는 http://rs21.org.uk/about/] * 우리는 변혁적 사회주의자들이다 경제 위기로 자본주의의 심장에 두 계급 간의 대립이 있음이 분명해졌다: 부를 만드는 거대한 대중과 그로부터 이익을 취하는 한 줌의 소수. 자본주의를 개혁하려는 시도는 실패했다: 유일한 해결책은 자본주의를 진정으로 민주적인 사회주의 사회로 바.. 2015. 9. 24.
저항을 위한 토대 건설하기 매튜 브렛 (Matthew Brett)번역: 박상우 이 글은 캐나다의 사회주의 조직 ‘뉴 소셜리스트(New Socialist)’의 지도적 활동가인 앨런 시어즈(Alan Sears)의 책 “새로운 좌파: 미래의 역사” (The Next New Left: A History of the Future[Fernwood Publishing, 2013] - 이하 )를 서평한 글이다. 비록 이 책이 아직 이 나라에 출판되진 않았지만, 이 책의 내용을 요약소개한 것이기도 한 이 서평이 좌파 정치와 운동의 새로운 혁신에 대한 고민에 도움이 될 것이라 판단해 번역 소개한다. 수고롭게 번역해 준 박상우, 꼼꼼하게 교정 봐 준 남수경 동지에게 감사를 전한다. 이 글의 원문은 http://newsocialist.org/788-b.. 2015. 8. 18.
민주집중주의 조직에서 토론의 역할 데이비드 홀링스 번역: 박상우 [이 글은 영국 사회주의노동자당(SWP) 내에서 2013년 내부 논쟁 과정에서 나온 글이다. 기간이나 범위를 제한하면서 규율 위반이라고 징계할 것이 아니라, 자유로운 토론과 논쟁, 비판과 이견의 자유를 허용하는 것이 왜 중요한지를 다루고 있다. 논쟁의 구체적 맥락이 있기는 하지만, 민주집중제와 레닌주의에 대한 재평가와 혁신을 위한 고민에 도움이 될만한 내용이라서 번역 소개한다.] 출처:http://prisonersofwant.tumblr.com/post/54626496551/the-role-of-debate-in-a-democratic-centralist “몇몇 신성한 공식을 아무 생각 없이 되풀이하는 것이 전통을 이어가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종파는 스탈린주의자들뿐 아니라 트.. 2015. 6. 11.
우리 모두가 불안정 노동자다 찰리 포스트 번역: 박상우 경제는 변하고 있고 일자리는 갈수록 불안정해지고 있다. 급진적 활동가는 새로운 환경에서 어떻게 조직할 수 있을 것인가? 지난 글(http://rreload.tistory.com/179)에 이어서 불안정 노동과 노동운동에 대한 고민에 도움이 될 글을 추가 번역했다. 이 글의 필자인 찰리 포스트(Charlie Post)는 오랫동안 사회주의 활동가로 일해왔으며 뉴욕시립대에서 강의하고 있다. 출처: https://www.jacobinmag.com/2015/04/precarious-labor-strategies-union-precariat-standing/ 신자유주의는 더이상 새로운 개념이 아니다. ‘탈산업화’와 더불어, ‘신자유주의’라는 개념으로1970년대 이후 발생한 핵심적인 변화들.. 2015. 5. 24.
불안정 노동, ‘압박’ 그리고 투쟁의 ‘도약’ 킴 무디번역: 박상우 의 저자인 킴 무디(Kim Moody)가 오늘날의 노동과 작업장 투쟁의 성격에 대한 논의를 이어간다. 이 토론은 이언 앨리슨(Ian A)의 글(http://rreload.tistory.com/156)에 케빈 크레인(Kevin Crane)이 반론을 펴면서 이어져왔다. 킴 무디는 신자유주의와 노동운동에 대해서 분석해 왔고 한국에도 가 번역된 바 있다. 출처:http://rs21.org.uk/2015/02/10/precarious-work-compression-and-class-struggle-leaps/ Ian A에게 답하는 글에서, Kevin Crane은 노조와 작업장에서의 사회주의자의 역할과 관련해 여러가지 진지한 쟁점들을 제기하였다. 내가 볼 때, 그가 말하는 논지의 핵심은 불안정.. 2015. 5. 12.
새로운 좌파의 건설을 향하여 데이비드 맥낼리(David McNally)번역: 박상우 이 글은 캐나다의 극좌파 조직인 ‘뉴 소셜리스트’(New Socialist)에서 2008년에 발표한 글이다. 어려운 조건과 상황 속에서 급진좌파가 현실을 직시하면서도 새로운 혁신을 추구하기 위한 방향에 대해 고민을 담고 있다. 데이비드 맥낼리는 이 조직의 주요 활동가이고 한국에도 그의 책 ≪글로벌 슬럼프≫가 출판된 바 있다. 출처: https://revolutionarystrategy.wordpress.com/next-new-left/ 때때로 가장 깊이있는 생각은 길을 잃었을 때나 내가 지금 어디에 있는 건지, 또는 가려는 곳에 어떻게 도착해야할지 알지 못할 때 떠오른다. 이는 개인의 삶에서나 과학 문제에 대한 연구에서나 그리고 정치 운동의 발전에서.. 2015. 4. 22.
어떤 아래로부터 사회주의 조직이 필요한가? 데이비드 맥낼리(David McNally)번역: 박상우 우리는 기존 국제사회주의 경향(IST)의 전통의 합리적 핵심을 계승하면서도 새로운 정치적 혁신이 필요하다는 고민을 해 왔다. 따라서 우리보다 앞서 비슷한 고민과 시도를 해 온 경험들도 살펴보고 있다. 그 점에서 캐나다에서 데이비드 맥낼리 등의 주도로 ‘New Socialist’가 해 온 고민도 참고할 가치가 있어 보인다. 이 글은 이들이 IST와 분리하며 1996년 3월 3일의 뉴 소셜리스트 대회에 제출했던 토론 문건이다. 비록 시간이 꽤 지나긴 했지만 지금도 여전히 유효한 고민들이 담겨있기에 번역했다. 출처: http://newsocialist.org/component/content/article/2-uncategorised/95-what-kind.. 2015. 4. 2.
노동현장의 분노, 자신감, 두려움, 희망 이언 앨리슨(Ian Allinson)번역 : 윤경준 [영국 RS21(Revolutionary Socialism in the 21st Century)의 주요 활동가인 이언 앨리슨(Ian Allinson)이 현대 노동현장의 두려움, 분노, 자신감, 희망에 관해 논한다. 어떤 대안과 방향이 필요한지도 제기한다.]출처 : http://rs21.org.uk/2014/06/21/anger-confidence-fear-hope/ 실질임금 삭감, 넝마가 된 연금체계, 잔인하고 불합리한데다 가난을 증명하라는 식의 복지체계, 민영화되고 파괴된 공공서비스, 그리고 끝없는 긴축과 삭감. 사람들은 분노하고 있고 기득권 체제에 대한 혐오는 하늘을 찌른다. 그러나 성과를 낼 수 있는 규모의 반격은 아직 영국에서 벌어지지 않았다. .. 2015. 3. 16.
자본은 무엇을 얻었고, 우리는 어떻게 되찾을까 rs21, 2014년 6월 21일(번역 : 윤경준) [Ray M이 노동문제 연구자 킴 무디 Kim Moody가 제기한 문제들을 검토했다. 어떻게 자본가들이 노동현장을 노동자들에게 무기력한 공간으로 재편해 왔는지에 관한 것이다.] 출처 : http://rs21.org.uk/2014/06/21/whatcapitalwon/ 지난 30년 동안 좌파는 자본이 우리들의 삶에 미친 영향에 관한 개념을 도출하는데 큰 어려움을 겪어왔다. 우리가 이 어려움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전후 경제호황을 끝장냈던 이윤율 하락 위기에 대한 해결책을 자본이 어떻게든 마련해냈다는 사실을 받아들여야 한다. 자본주의 경제사를 단지 계속되는 이윤율 하락 위기의 연속으로 그리는 정통교리만을 받아들이며 너무도 오랫동안 우리는 이 사실을 .. 2015. 3. 6.
미국 노동운동에서 배우기3 : 침체에서 회복으로 Ian Allison, 2014년 12월 10일번역 : 박상우 출처 : http://rs21.org.uk/2014/12/10/historical-materialism-2014-reversing-the-decline/ [올해 ‘역사적 유물론’(historical materialism) 학술대회에서는 북미 노동 운동을 되돌아보는 네 개의 유익한 세션이 있었다. 영국 RS21(Revolutionary Socialism in the 21st Century) 소속이자 UNITE(영국의 운수일반노동 조합과 통합기계공전자노조의 통합 노조) 활동가인 Ian Allison이 그 내용을 세 개의 기사로 정리했다. 이것은 세번째 기사로 그동안 논의를 종합한다. 한국 노동운동의 위기와 대안에 대한 고민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 .. 2015. 2.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