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주의106

한때는 혁명적이었던 칼 카우츠키 근래 국제적 좌파들 사이에서는 독일 사회민주당과 칼 카우츠키에 대한 재조명과 재평가가 활발하게 진행돼 왔다. 카우츠키를 "배신자"라고 한 레닌의 그 유명한 비난은 마르크스주의자들이 카우츠키의 저술에 실제로 관여하는 것을 오랫동안 좌절시켜 왔다. 그리고 이것은 카우츠키가 남긴 유산과 그것이 후대에 미친 영향을 실질적으로 철저하게 평가하는데 오히려 방해가 돼 왔다. 그러나 레닌이 카우츠키의 후퇴를 날카롭게 비판한 것은, 민주주의 전투에 결정적 역점을 둔 혁명적 마르크스주의가 담긴 카우츠키의 초기 저술에 대한 그의 큰 존경 때문이었다. 여기서 인터뷰한 벤 루이스(Ben Lewis)는 연구자, 번역가, 의 기고자이며 사회주의 운동의 역사에 대한 많은 연구와 저술을 남겨왔다. 특히 그는 독일어로 된 1차자료에 대.. 2021. 2. 20.
축적 이론에서 사회적 재생산 이론까지 축적 이론에서 사회적 재생산 이론까지 - 로자 룩셈부르크의 페미니즘 앙키카 차카르디치(Ankica Čakardić) 번역: 두견 이 논문은 로자 룩셈부르크의 정치경제 비평의 틀을 활용해서 여성의 재생산 작업과 축적의 재생산에서 그 역할에 대한 페미니스트적 분석에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려는 시도이다. 이를 위해서 저자는 룩셈부르크의 '공간성의 변증법'과 오늘날 사회적 재생산 이론 사이의 연관성을 보여 주고, 룩셈부르크의 이론이 사회주의 페미니즘과 사회적 재생산 이론을 더 정교하게 발전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증명하려 한다. 이 논문의 저자인 앙키카 차카르디치(Ankica Čakardić)는 크로아티아에 있는 자그레브 대학교의 사회철학 조교수이고, , 등의 책을 썼다. 이 논문에 1/3 가량을 .. 2021. 2. 9.
전술의 탄생 존 리델(John Riddell)번역: 두견 존 리델(John Riddell)이 사회주의 역사 속에서 좌파가 다수 노동자들의 지지를 얻기 위해 시도 속에서 어떻게 전술을 발전시켜 왔는지 살펴본다. 혁명적 노동자들이 원칙만을 고수하는 것이아니라 개혁주의나 중도주의적인 노동자들과도 공동의 요구를 중심으로 함께 행동할 수 있어야 하고 그 과정에서 대중적 기반을 넓히는 전술이 필요하다는 것이고, 코민테른 초기 역사에서 그런 시도와 고민을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오늘날의 좌파에게도 많은 교훈과 영감을 줄 것이다. 존 리델은 캐나다 토론토에 기반을 둔 베테랑 사회주의 활동가이며 무엇보다 코민테른 역사에 대한 치밀하고 전문적인 탐구와 저술로 유명하다. 코민테른의 역사를 소개하고 관련 문헌과 자료들을 번역 소개.. 2021. 1. 23.
[논쟁] 생태사회주의 그리고/ 또는 탈성장? 미카엘 뢰비(Michael Löwy)번역: 두견 생태주의 좌파는 모든 소비를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하는가, 아니면 널리 퍼져있는 소비 유형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하는가? 이 글의 필자인 미카엘 뢰비(Michael Löwy)는 사회주의 활동가이지 학자로서 (Haymarket 2015)의 저자이고, 파리의 전국과학연구센터(National Center of Scientific Research)에서 사회과학 분야 명예 연구 책임자이다. 출처: https://climateandcapitalism.com/2020/10/08/ecosocialism-and-or-degrowth/ 생태사회주의와 탈성장 운동은 생태주의 좌파의 가장 중요한 경향에 속한다. 생태사회주의자들은 생태학적 붕괴를 피하기 위.. 2021. 1. 12.
[박노자] 좌파의 자아 비판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사는 러시아계 한국인 교육 노동자/연구 노동자’라고 본인을 소개하는 박노자는 , , , 등 많은 책을 썼다. 박노자 본인이 운영하는 블로그에 실렸던 글(https://blog.naver.com/vladimir_tikhonov)을 다시 옮겨서 실을 수 있도록 허락해 준 것에 정말 감사드린다.] 좌파는, 그들이 개혁의 대상으로 삼는 사회의 산물들입니다. 그 사회의 유기적 일부분이죠. 좌파는 그 소속 사회를 바꾸려 하지만, 동시에 많은 경우에는 그 사회의 그다지 바람직하지 않는 많은 특징들을 이미 공유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러시아 혁명의 보수화/타락을 '스탈린'이나 '스탈린주의자'들의 탓으로 돌리는 게 아주 쉽지만, 1920년대 소련 공산당 내부의 좌우파 격론에서 스탈린주의적 보수.. 2020. 12. 30.
‘4월 테제’: 신화와 현실 라스 리(Lars T Lih)번역: 두견 좌파의 많은 사람들은 레닌이 1917년에 트로츠키주의로 전향한 것으로 보고 있다. 라스 T 리는 이 신화와 대결하면서 어떤 면에서 트로츠키와 수렴하면서도 여전히 다른 전략을 가지고 있는 레닌을 드러낸다. 거기에는 또한 카우츠키가 레닌에 가한 영향도 존재한다. 이 글에서 라스 리는 또다시 역사적 기록을 치밀하게 살펴보면서 정설에 도전한다. 라스 리는 러시아어 원자료와 구체적인 상황과 맥락에 입각한 러시아 혁명과 ‘레닌주의’에 대한 혁신적 재해석으로 주목받아 왔고, 수많은 책과 논문을 쓴 역사학자이다. 그의 대표적인 저서로는 (1990), (2006) 등이 있다. 이 글은 얼마 전에 번역 소개한 라스 리의 또 다른 글 ‘4월 테제: 1917년 4월의 이전과 이후’(h.. 2020. 12. 5.
조직에 관한 노트, 왜 우리는 다시 시작해야 하는가 사이 엥글러트(Sai Englert)번역: 두견 제레미 코빈의 실험이 아쉬운 실패로 끝난 상황에서 최근 영국 노동당 안팎의 좌파들 속에서는 좀 더 근본적인 차원과 긴 안목에서 지난 활동을 평가하고 새로운 길을 모색하는 고민과 토론이 전개되고 있다. 이 글은 그런 시도 중에 하나로 오늘날 곳곳에서 새로운 대안을 모색하는 좌파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이 글의 필자인 사이 엥글러트는 영국 런던에서 활동하는 사회주의 운동가 겸 연구자이다. 출처:https://notesfrombelow.org/article/notes-organisation?fbclid=IwAR1IUCqVB5-0yUr9N29q9zYTSTYGoWHG4ovmrU9oXgV7i1xWJgVrDB9uNIs “사회주의 이데올로기는 지난 50년과 역사적 경험에.. 2020. 10. 28.
[박노자] 마르크스의 오류?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사는 러시아계 한국인 교육 노동자/연구 노동자’라고 본인을 소개하는 박노자는 , , , 등 많은 책을 썼다. 박노자 본인이 운영하는 블로그에 실렸던 글(https://blog.naver.com/vladimir_tikhonov)을 다시 옮겨서 실을 수 있도록 허락해 준 것에 정말 감사드린다.] 트럼프에게 표를 주는 미국의 백인 소도시 노동자들, '국민 전선' 같은 극우들에게 표를 주는 프랑스의 백인 남성 노동자들, 아니면 푸틴을 열렬 지지하는 현재 많은 러시아 노동자들을 봤을 때에 노동계급을 '자본주의를 매장시킬 세력', 나아가서 계급 사회의 5천년이나 된 그 한계를 넘어 인류 전체를 '필연성의 영역'에서 '자유의 영역'으로 이끌어나갈 계급으로 본 마르크스 선생이 정말 오류를 범했나,.. 2020. 10. 26.
[박노자] 1920~30년대 혁명, 그리고 1980년대 혁명 박노자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사는 러시아계 한국인 교육 노동자/연구 노동자’라고 본인을 소개하는 박노자는 , , , 등 많은 책을 썼다. 박노자 본인이 운영하는 블로그에 실렸던 글(https://blog.naver.com/vladimir_tikhonov)을 다시 옮겨서 실을 수 있도록 허락해 준 것에 정말 감사드린다.] 한국 근현대사에서 '혁명'이 현실적인 화두가 오른 시기는 딱 두 번 있습니다. 첫째 시기는 1919년 3월1일, 즉 3.1운동부터 시작돼 1936년 12월 25일에 경성의 전설적인 지하 공산주의 지도자 이재유가 양주군 공덕리역 근처에서 일경들에게 끝내 잡혀 들어감으로서 '공산당 재건'의 시도들이 사실상 패배할 때까지 지속됐습니다. 그 시기의 주인공은 조선공산당을 이룬 여러 정파들, 그리고.. 2020. 9. 13.
트로츠키의 대한 논쟁 폴 르블랑(Paul Le Blanc) 번역: 두견 폴 르블랑은 2015년에 를 출판했는데, 앨런 월드(Alan Wald)가 이 책을 비판적으로 리뷰하는 글(www.solidarity-us.org/node/4505)을 먼저 썼고, 그것에 다시 르블랑이 반박하면서 답변한 글을 여기에 소개한다. 비록 르블랑의 책과 서평이 먼저 번역돼 있지는 않은 상황이지만, 이 글이 관련 논의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필자인 폴 르블랑은 역사가이자 사회주의자로, 사회주의 역사에 대한 다양한 저술을 남겨 왔다. 출처: https://solidarity-us.org/atc/179/p4534/ 에 대한 그의 관대하고 사려 깊은 리뷰에 대해 앨런 월드에게 감사한다. 그는 영웅적이고 영감을 주는 191.. 2020. 9. 1.
레닌과 카우츠키: 마지막 시기 라스 리(LARS T. LIH)번역: 두견 [이 글에서 라스 리는 다시 한번 신화와 정설에 도전한다. 그것은 레닌은 일찍부터 무의식적으로 카우츠키와 단절해서 독창적인 사상을 발전시켰고, 특히 1914년 이후에는 의식적으로 그랬다는 주장들이다. 반면 치밀한 조사와 탐구를 통한 라스 리의 결론은 전혀 다르다. 레닌은 카우츠키가 던져버린 사상과 전략의 충실한 수호자로 끝까지 남았다는 것이다. 이 글의 필자인 라스 리는 러시아어 원자료와 구체적인 상황과 맥락에 입각한 러시아 혁명과 ‘레닌주의’에 대한 혁신적 재해석으로 주목받아 왔고, 수많은 책과 논문을 쓴 역사학자이다. 그의 대표적인 저서로는 (1990), (2006) 등이 있다.] 출처: http://www.isreview.org/issues/59/feat-.. 2020. 8. 3.
좌파가 패배를 지속하는 이유와 우리가 이길 수 있는 방법 에릭 블랑(ERIC BLANC)번역: 두견 사회주의자들은 20세기 사회민주주의의 실패와 레닌주의의 적절성 저하와 함께 근래 그리스의 시리자(Syriza), 영국의 제레미 코빈(Jeremy Corbyn), 미국의 버니 샌더스(Bernie Sanders)에게 일어난 패배에 대해 연구할 필요가 있다. 레오 파니치(Leo Panitch)와 샘 긴딘(Sam Gindin)이 스테판 마허(Stephen Maher)와 함께 쓴 (Haymarket Books, 2020)에 대한 서평을 통해서 에릭 블랑은 그것을 지적하고 있다. 오랜 시간 많은 경험과 기여를 해온 베테랑 사회주의자들이 함께 쓴 위의 책이 한국에 출판된 것은 아니지만, 시사점이 많고 여로모로 도움이 된다고 판단해서 이 서평을 번역했다. 이 글의 필자인 에릭.. 2020. 7.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