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주의106 코로나19, 자본주의, 그리고 계급투쟁 전지윤 ● 코로나 팬데믹, 국제적 주가 폭락, 정치적 카오스 지난주까지 세계 주요국가에서 증시 대폭락으로 일주일 만에 수천 조 원이 날라간 데 이어서 이번 주에도 미국을 중심으로 주가 폭락, 반등, 폭락이 이어지고 있다. 이탈리아에서는 과밀 교도소에서 코로나 확산에 대한 공포로 폭동까지 벌어졌다. 국제적 주가 폭락과 팬데믹으로 향하는 전염병, 정치적 카오스로의 경향 등 그야말로 불길하고 뒤숭숭한 상황이다. 특히 중요한 것은 이미 존재하던 세계경제의 매우 취약하고 불안정한 토대 위에서 지금의 여러 사태들이 전개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토대는 2008년 세계금융 위기의 ‘극복’ 과정에서 진행된 양적완화와 구제금융, 긴축정책들 속에서 만들어진 것이다. 그 결과로 세계 자본주의는 당장의 위기는 벗어날 수 있.. 2020. 3. 30. 여성과 노동: 슈 퍼거슨과의 인터뷰 - 2 사회주의 페미니스트인 슈 퍼거슨(Sue Ferguson)과의 인터뷰 기사이다. 슈 퍼거슨의 새책인 (Women And Work: Feminism, Labour, and Social Reproduction - Pluto, 2020)을 중심으로 성별화된 노동, 반자본주의 투쟁, 사회적 재생산 이론에 대해서 폭넓게 이야기하고 있다. 슈 퍼거슨은 사회적 재생산 이론을 발전시키며 사회주의 페미니즘을 체계화시키는 경험을 수십 년간 해 왔다. 노동력과 노동계급의 사회적 재생산이 작업장을 넘어서서 인종과 젠더의 교차 속에서 이뤄진다는 점을 강조해 왔다. 글이 다소 길어서 두 번에 나누어 싣는다. 이 글은 2편이다.(번역: 두견) 출처: http://newsocialist.org/women-and-work-an-inte.. 2020. 3. 24. 여성과 노동: 슈 퍼거슨과의 인터뷰 - 1 사회주의 페미니스트인 슈 퍼거슨(Sue Ferguson)과의 인터뷰 기사이다. 슈 퍼거슨의 새책인 (Women And Work: Feminism, Labour, and Social Reproduction - Pluto, 2020)을 중심으로 성별화된 노동, 반자본주의 투쟁, 사회적 재생산 이론에 대해서 폭넓게 이야기하고 있다. 슈 퍼거슨은 사회적 재생산 이론을 발전시키며 사회주의 페미니즘을 체계화시키는 경험을 수십 년간 해 왔다. 노동력과 노동계급의 사회적 재생산이 작업장을 넘어서서 인종과 젠더의 교차 속에서 이뤄진다는 점을 강조해 왔다. 글이 다소 길어서 두 번에 나누어 싣는다. 이 글은 1편이다.(번역: 두견) 출처: http://newsocialist.org/women-and-work-an-inte.. 2020. 3. 18. 국가와 이해관계: 계급투쟁의 관계적 이론과 정치 2 - 자본주의 국가의 성격 논쟁3 근래 미국에서는 좌파진영을 중심으로 자본주의 국가와 사회변혁의 전략에 대한 논쟁들이 벌어지고 있다. 여성차별, 인종차별, 환경파괴 등에 맞서는 다양한 운동들의 성장, 노동자 파업 물결의 부활, 버니 샌더스와 민주적사회주의자들(DSA)의 급부상 등이 이런 논쟁을 촉발시키고 있다. 그런 논쟁의 일환으로 자본주의 국가를 어떻게 볼 것인가에 대한 논쟁을 몇 번에 나누어 소개한다. 첫 번째 글은 데이비드 맥낼리(David Mcnally)가 쓴 마르크스주의와 국가에 대한 글이었다.(https://www.anotherworld.kr/746)고 이어서 마이클 A 맥카시(Michael A. McCarthy)의 자본주의 국가의 성격과 기능에 대한 7개의 테제를 실었다.(https://www.. 2020. 2. 21. 국가와 이해관계: 계급투쟁의 관계적 이론과 정치 1 - 자본주의 국가의 성격 논쟁3 근래 미국에서는 좌파진영을 중심으로 자본주의 국가와 사회변혁의 전략에 대한 논쟁들이 벌어지고 있다. 여성차별, 인종차별, 환경파괴 등에 맞서는 다양한 운동들의 성장, 노동자 파업 물결의 부활, 버니 샌더스와 민주적사회주의자들(DSA)의 급부상 등이 이런 논쟁을 촉발시키고 있다. 그런 논쟁의 일환으로 자본주의 국가를 어떻게 볼 것인가에 대한 논쟁을 몇 번에 나누어 소개한다. 첫 번째 글은 데이비드 맥낼리(David Mcnally)가 쓴 마르크스주의와 국가에 대한 글이었다.(https://www.anotherworld.kr/746)고 이어서 마이클 A 맥카시(Michael A. McCarthy)의 자본주의 국가의 성격과 기능에 대한 7개의 테제를 실었다.(https://www.. 2020. 2. 12. “계급투쟁의 태풍은 자주 일어나지 않는다” - 2 에릭 블랑(ERIC BLANC) 미국에서 교사들의 파업 물결은 수년 간 노동계급 정치의 가장 중요한 발전이다. 사회주의의 부상과 결합하여, 미국 정치가 왼쪽으로 전환될 수 있는 그 어느 때보다도 좋고 큰 기회다. 에릭 블랑(Eric Blanc)은 미국의 그 누구보다 교사들의 파업 물결을 더 가까이서 다루었다. 그는 웨스트버지니아와 애리조나에서 오클랜드와 덴버에 이르기까지 대부분의 파업 기간 동안 현장에서 교사를 인터뷰하고 자신이 본 것에 대해 보도해 왔다. 그리고 그는 그 보도를 새로운 책인 로 묶어냈다.(미국에서는 공화당 지지가 강한 지역을 ‘레드 스테이트’라고, 민주당 지지가 강한 지역을 ‘블루 스테이트’라고 부른다.) 블랑의 책은 왜 교사들이 전국적으로 이러한 과감한 행동을 취하려 했는지 이해하고자.. 2020. 1. 28. "계급투쟁의 태풍은 자주 일어나지 않는다" - 1 에릭 블랑(ERIC BLANC)번역: 두견 미국에서 교사들의 파업 물결은 수년 간 노동계급 정치의 가장 중요한 발전이다. 사회주의의 부상과 결합하여, 미국 정치가 왼쪽으로 전환될 수 있는 그 어느 때보다도 좋고 큰 기회다. 에릭 블랑(Eric Blanc)은 미국의 그 누구보다 교사들의 파업 물결을 더 가까이서 다루었다. 그는 웨스트버지니아와 애리조나에서 오클랜드와 덴버에 이르기까지 대부분의 파업 기간 동안 현장에서 교사를 인터뷰하고 자신이 본 것에 대해 보도해 왔다. 그리고 그는 그 보도를 새로운 책인 로 묶어냈다.(미국에서는 공화당 지지가 강한 지역을 ‘레드 스테이트’라고, 민주당 지지가 강한 지역을 ‘블루 스테이트’라고 부른다.) 블랑의 책은 왜 교사들이 전국적으로 이러한 과감한 행동을 취하려 했는지.. 2020. 1. 24. [박노자] "가짜 민주주의"? 박노자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사는 러시아계 한국인 교육 노동자/연구 노동자’라고 본인을 소개하는 박노자는 , , , 등 많은 책을 썼다. 박노자 본인이 운영하는 블로그에 실렸던 글(https://blog.naver.com/vladimir_tikhonov)을 다시 옮겨서 실을 수 있도록 허락해 준 것에 정말 감사드린다.] 약 40일 전에 노르웨이에서 지자체 의회 선거가 있었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이런저런 어려운 일은 있었지만, 일단 투표를 작정해서 했습니다. 제 소속 정당 (적색당)이 제가 사는 지역에서 어차피 2%의 득표율도 보이지 못하니까 제 한 표라도 그래도 꼭 던져주고 싶었습니다. 노르웨이는 저 같은 영주권 보유자들에게 지자체 의회 선거 때 투표권을 부여하는데, 그것도 참 좋은 일이라고 생각하고.. 2019. 10. 21. 사회변혁의 전략 논쟁2 - 사회주의로 가는 어떤 길인가? [근래 미국 좌파진영에서는 사회변혁의 전략에 대한 매우 흥미롭고도 중요한 논쟁들이 벌어지고 있다. 여성차별, 인종차별, 환경파괴 등에 맞서는 다양한 운동들의 성장, 노동자 파업 물결의 부활, 버니 샌더스와 민주적사회주의자들(DSA)의 급부상 등이 이런 논쟁을 촉발시키고 있다. 치열한 논쟁 속에서 러시아 혁명에 대한 재평가, ‘레닌주의’적 사회변혁 전략의 타당성 등도 중요한 논점이 되고 있다. 우리는 이와 관련된 글들을 계속 번역, 소개해 나갈 예정이다. 이번에는 올해 미국에서 열린 ‘역사유물론’(Historical Materialism) 컨퍼런스에 벌어진 논의를 지면으로 옮긴 글을 번역해 소개한다. 발표자 중에 한 명인 에릭 블랑(Eric Blanc)은 DSA 소속의 사회주의 이론가이자 활동가이고, 찰리.. 2019. 10. 18. 사회주의 페미니즘과 사회적 재생산 이론 [이론과 행동, 사회주의와 페미니즘의 교차성에 대해 수잔 퍼거슨(Susan Ferguson)을 인터뷰한 기사이다. 수잔 퍼거슨은 사회적 재생산 이론의 전문가로서 사회주의 페미니즘을 체계화시키는 경험을 수십 년간 해 왔다. 캐나다에서 활동하는 사회주의자로서 사회적 재생산과 사회주의 페미니즘에 대해 연구하고 기여해 왔으며 노동력과 노동계급의 사회적 재생산이 작업장을 넘어서서 인종과 젠더의 교차 속에서 이뤄진다는 점을 강조해 왔다.(번역: 두견)] 출처: https://dsabuild.org/socfem-and-social-reproduction?fbclid=IwAR0Sf092yK5G6Eg26E7JEPdRPqvXNlbnNtqBoWanGFrkMlpMSYjYq22Lu-0 사회주의 페미니즘에 대한 당신의 개인적 역.. 2019. 10. 7. 사회주의자는 #METOO에서 무엇을 배울 것인가? 엘리자베스 위글리필드(Elizabeth Wrigley-Field) 번역: 두견 [엘리자베스 위글리필드(Elizabeth Wrigley-Field)가 쓴 이 글은 미국의 중요한 극좌파 조직인 국제사회주의조직(ISO: International Socialist Organization)에서 있었던 성폭력 은폐 사건을 다루고 있다. ISO 회원들은 이 사건에 대한 조직보존주의적 대응을 거부하고, 회원들의 총투표를 통해 조직 해산을 택한 바가 있다. 조직 해산 이전에 반성과 평가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나온 이 글은 이 쓰디쓴 사건을 돌아보면서 교훈과 과제를 도출하려는 시도이다. 특히 지난 2년간 전세계적으로 진행되어 온 #METOO 운동의 경험과 교훈을 통해서 이 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이 글이 한국 운동사회와 좌.. 2019. 6. 26. [박노자]"죽는 한이 있더라도 사랑 없는 키스를 하지 말라!" 박노자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사는러시아계 한국인 교육 노동자/연구 노동자’라고 본인을 소개하는 박노자는 , , , 등 많은 책을 썼다. 박노자 본인이 운영하는 블로그에 실렸던 글(https://blog.naver.com/vladimir_tikhonov)을 다시 옮겨서 실을 수 있도록 허락해 준 것에 정말 감사드린다.] 얼마 전 최근의 러시아에 대해 참 불쾌한 뉴스 하나를 접했습니다. 러시아 성매매 관련 업종 여성 종사자 총수는 인제 3백만 명 정도 된다, 그리고 최근의 조사에 의하면 약 55%의 러시아 남성들이 성 구매 경험이 있다는 뉴스이었습니다. 이걸 보고 맨 먼저 든 생각은, 아아, 인제 러시아도 한국처럼 다 돼버렸단 생각이었습니다. 총인구 비례해서 세본다면 인제 성매매 관련 업종의 종사자 수가 양.. 2019. 5. 31. 이전 1 ··· 3 4 5 6 7 8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