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세상을향한연대1356 [박노자] 시간이 트라우마를 해결하나요?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사는 러시아계 한국인 교육 노동자/연구 노동자’라고 본인을 소개하는 박노자는 , , , 등 많은 책을 썼다. 박노자 본인이 운영하는 블로그에 실렸던 글(https://blog.naver.com/vladimir_tikhonov)을 다시 옮겨서 실을 수 있도록 허락해 준 것에 정말 감사드린다.] 세상살이에서는 '시간'은 아주 많은 부분들을 해결해주는 것 같긴 합니다. 사회적으로도 개인적으로도 그렇습니다. 예컨대 그런 사례를 생각해보시지요. 1812년, 불-러 전쟁통에는 나폴레옹은 러시아로 진입해서 모스크바까지 다 쑥대밭으로 만들어놓았습니다. 그런데 그 "나폴레옹 침공'을 이유로 해서 '반불 감정'을 갖는 러시아인들은 과연 있나요? 지금도 한 명도 없지만, 이미 19세기 중반에도 거의 찾.. 2020. 8. 1. 세상읽기 - 이석기 석방/ 박원순의 비극/ 부동산/ 백선엽 전지윤 ● 이석기 의원을 반드시 석방하라 무려 8년째 감옥에 있는 이석기 의원, 그 동생을 석방하라고 청와대 앞에서 무려 1000일 넘게 1인농성을 해온 누나 이경진 님. 그 이경진 님이 생존 가능성이 희박한 말기암에 걸리셨다고 한다. 그럼에도 동생에게 ‘너가 나올 때까지 무조건 살아있겠다’고 약속하신다. 이 참혹한 현실에 그저 한없는 슬픔과 분노만 차오른다. 혐오와 차별이 극심한 한국사회에서 가장 필요한 법이 차별금지법이라면, 반드시 없어져야 하는 법은 국가보안법이다. 국가보안법은 특정한 사상과 견해를 마음껏 혐오하고 차별할 자유를 보장하고 있고, 다양한 혐오를 거부하고 벗어날 자유를 보장해야 할 차별금지법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런 나라에 살면서 홍콩 보안법에 대해서만 뭐라고 하는게 온당한 일일까? 정.. 2020. 7. 29. 좌파가 패배를 지속하는 이유와 우리가 이길 수 있는 방법 에릭 블랑(ERIC BLANC)번역: 두견 사회주의자들은 20세기 사회민주주의의 실패와 레닌주의의 적절성 저하와 함께 근래 그리스의 시리자(Syriza), 영국의 제레미 코빈(Jeremy Corbyn), 미국의 버니 샌더스(Bernie Sanders)에게 일어난 패배에 대해 연구할 필요가 있다. 레오 파니치(Leo Panitch)와 샘 긴딘(Sam Gindin)이 스테판 마허(Stephen Maher)와 함께 쓴 (Haymarket Books, 2020)에 대한 서평을 통해서 에릭 블랑은 그것을 지적하고 있다. 오랜 시간 많은 경험과 기여를 해온 베테랑 사회주의자들이 함께 쓴 위의 책이 한국에 출판된 것은 아니지만, 시사점이 많고 여로모로 도움이 된다고 판단해서 이 서평을 번역했다. 이 글의 필자인 에릭.. 2020. 7. 27. [박노자] 국적 차이와 계급 차이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사는 러시아계 한국인 교육 노동자/연구 노동자’라고 본인을 소개하는 박노자는 , , , 등 많은 책을 썼다. 박노자 본인이 운영하는 블로그에 실렸던 글(https://blog.naver.com/vladimir_tikhonov)을 다시 옮겨서 실을 수 있도록 허락해 준 것에 정말 감사드린다.] 제가 1995년에 국제결혼을 했습니다. 그 당시 저는 러시아 국적이었고 결혼 상대자는 한국 국적이었습니다. 그 당시로서는 흔치 않은 일이긴 했습니다. 1995년 한국 국내에서는 국제결혼의 건수는 약 6천 건, 그러니까 전체 결혼들의 3% 안팎이었습니다. 주변의 반응은 다양했습니다. 격려도 많았지만, "양놈이 우리 나라 계집을 이렇게 훔쳐가면 되겠느냐"는 말도 종종 듣곤 했지요. 그러나 격려든 농.. 2020. 7. 24. 국제 - 미국 민중 투쟁/ 홍콩 보안법/ 볼턴 회고록/ 콩고 전지윤 ● 미국의 역사를 바로잡고 있는 투쟁 얼마 전 미국 독립기념일 행사에서 트럼프가 최근의 미국 민중 투쟁을 비난하며 이런 말을 했다고 한다. "역사를 말살하려는 무자비한 캠페인", "미국 독립혁명을 타도하려고 고안된 좌파 문화혁명", “우리는 지금 급진 좌파, 맑시스트, 무정부주의자, 선동가, 약탈자들을 물리치는 과정에 있다”... 노골적인 색깔론과 낙인찍기이지만, 그만큼 심각한 위기의식이 느껴진다. 지난 5월 26일 이후 미국 전역에서는 하루에 평균 140건씩 총 4700여건의 시위가 벌어져 총 2천600만 명이 참가했다고 한다. 이 투쟁은 역사를 말살하는 게 아니라 바로잡으려는 것이고, 미국과 세계를 유린해온 진짜 약탈자들을 물리치는 역사적 과정이라고 봐야 한다. 미국은 원주민들을 학살하면서 만.. 2020. 7. 22. 생태사회주의냐 야만이냐: 이안 앵거스와의 인터뷰 생태사회주의자이자 저술가인 이안 앵거스(Ian Angus)가 환경 위기와 인류세(Anthropocene), 코비드-19에 대해 논한다. 그는 새로운 바이러스, 박테리아, 기생충이 야생동물에서 인간으로 퍼진 이유는 자본이 주요한 숲을 불도저로 밀어내고 수익성 있는 단종재배로 대체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생태사회주의자들은 자본이 지구를 지배하는 한 영구적인 해결책이 불가능할 것이라고 인내심을 갖고 설명해야 한다. 이안 앵거스(Ian Angus)는 온라인 저널인 의 편집자로서, '먼슬리리뷰'(Monthly Review)에서 출판된 와 을 포함한 여러 책의 저자이다. 그는 '지구적 생태사회주의자 네크워트'(Global Ecosocialist Network)의 창립 멤버이다.(번역: 두견) 출처: http.. 2020. 7. 19. [박노자] 직장 성추행이 없는 사회/ 욕망, 초아, 죽음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사는 러시아계 한국인 교육 노동자/연구 노동자’라고 본인을 소개하는 박노자는 , , , 등 많은 책을 썼다. 박노자 본인이 운영하는 블로그에 실렸던 글(https://blog.naver.com/vladimir_tikhonov)을 다시 옮겨서 실을 수 있도록 허락해 준 것에 정말 감사드린다. 박노자는 이번에 박원순 서울시장의 사망과 성폭력 사건에 대해서 총 4편의 글을 연달아 발표했는데, 지면 관계상 그 중에서 두 편을 골라서 올린다. 나머지 두 편의 글은 맨 아래의 링크들을 따라가 블로그에서 직접 찾아 볼 수 있다.] ● 직장 성추행이 없는 사회를 위하여! 이 세상에서는 아직도 '직장 성희롱', '직장 성추행'이 없는 사회는 없었습니다. 자유주의자들이나 사회주의자들이 정치, 사회적 .. 2020. 7. 17. 활어를 좋아하는 나라의 물고기 복지 최태규 [네이버 포스트 ‘최태규의 동심보감’에 실렸던 글을 다시 옮겨서 실을 수 있도록 허락해 준 필자에게 깊이 감사드린다.] 어린 ‘활’꽃게. 살아있는 먹거리에 집착하는 나라 활어(活魚)는 살아있는 물고기를 말한다. 그럼 활어회는? 살아있는 물고기를 죽이자마자 날로 먹는 것을 뜻한다. 살아있는 물고기를 채 죽이지도 않고 입이 뻐끔뻐끔하는 것을 보면서 발라놓은 물고기의 살을 집어먹기도 한다. 더할 나위 없이 신선하다는 징표다. 물 속에서만 살 수 있는 동물을 뭍으로 꺼내어 도심으로 수백킬로미터 옮겨와 살려둘 수 있다는 과시이기도 하다. 그래서 일반인들이 먹는 회는 살만 발라 접시에 올리지만, 입이 뻐끔거리는 장면을 연출하는 곳에는 으스댈 필요가 있는 사람들이 모여있는 것 같다. 한국만큼 활어를 선호하는 .. 2020. 7. 15. 세상읽기 - 슬픈 세상과 사람들/ 검찰, 언론개혁/ 인국공/ 정의연 전지윤 ● 너무 슬픈 세상과 너무 슬픈 사람들 정말 너무나 슬픈 세상이고 슬픈 사람들이다. 많은 사람들이 고인이 실종됐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 큰 충격 속에 불안과 걱정에 시달렸고, 제발 무사히 돌아오기를 바랐을 것이다. 그 반나절이 넘는 시간 동안 ‘제발..’을 되뇌었을 수많은 사람들의 마음은 지극히 인간적이고 자연스러운 것이다. 결국 비극이 전해졌을 때 느꼈을 비통함도 마찬가지다. 동시에 고인의 실종과 죽음이 성폭력 피해호소와 연관돼 있다는 것을 알았을 때, 많은 사람이 느꼈을 혼란, 당혹감도 마찬가지다. 그 피해자가 겪었을지 모를 고통과 상처에 대한 걱정과 공감도 지극히 인간적이고 자연스러운 것이다. 더구나 이 커다란 비극이 그 피해자에게 가할 엄청난 후폭풍과 새로운 피해를 걱정하는 마음도 절박할 수.. 2020. 7. 12. [박노자] "미국 다음의 세계"를 상상해본다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사는 러시아계 한국인 교육 노동자/연구 노동자’라고 본인을 소개하는 박노자는 , , , 등 많은 책을 썼다. 박노자 본인이 운영하는 블로그에 실렸던 글(https://blog.naver.com/vladimir_tikhonov)을 다시 옮겨서 실을 수 있도록 허락해 준 것에 정말 감사드린다.] 1970~80년대 같으면 '미국 패권의 종말'의 가능성은 주로 지식인들의 '이론적인' 논쟁거리에 불과했습니다. 폴 케네디의 1987년 명작 에서는 미국이 쇠약해지면 다음의 세계적 패권국 후보로 다름이 아닌 일본을 상상해보기도 했는데, 일본이 세계에서는 물론 동아시아 지역에서도 중국에 밀려 '열강'이 아닌 '중견국'이 된 금일에 와서는 이 이야기를 읽으면서 '예측'의 내재적 한계를 다시 실감해봅니.. 2020. 7. 8. 정치적 자유의 빛과 공기 - 2 라스 리(Lars T. Lih)번역: 두견 [라스 리(Lars T. Lih)는 러시아어 원자료와 구체적인 상황과 맥락에 입각한 러시아 혁명과 ‘레닌주의’에 대한 혁신적 재해석으로 주목받아 왔고, 수많은 책과 논문을 쓴 역사학자이다. 그의 대표적인 저서로는 (1990), (2006) 등이 있다. 이 글에서 라스 리는 또다시 기존의 정설적 해석에 비판적 의문을 제기하면서 레닌과 볼셰비키가 정치적 자유와 민주주의에 대해서 보인 이중적이고 모순적인 태도를 탐구한다. 글이 길어서 두 번에 나누어 싣고 이번 글은 두 번째이다.] [1편에서 이어짐] '농촌 빈민에게'(1903)라는 글에서 레닌은 농민에 대한 그의 접근을 다소 접근하기 쉬운 방법으로 깔끔하게 요약한다. 이것의 첫 부분에서 그는 마르크스주의자들이 정치적.. 2020. 7. 6. 사회 변혁과 민주주의 - 2 전지윤 [이 글은 2019년 5월 ‘맑스코뮤날레’의 ‘마르크스와 대안 민주주의’ 세션에서 필자가 발표했던 것이다. 그러다보니 지난 1년 동안의 상황 변화들이 반영돼 있지 않고 결과적으로 어긋난 예측들도 볼 수 있다. 특히 지난해 여름부터 진행된 검찰대란 국면과 그 이후의 총선 결과 등이 그렇다. 글을 더 보강하고 확장해서 올리려고 미루다가 시간만 지나서 일단 올린다. 이 글에 있던 많은 각주들은 편의상 생략했다. 글이 매우 길어서 2번에 나누어 올린다. 이 글은 2 번째이다.] 사회주의적 민주주의의 이상과 혁명의 필요성 착취 억압받는 민중이 정치권력뿐 아니라 사회경제적 권력까지 통제하는 것, 그것은 사회주의적 민주주의의 이상이다. 2011년에 중동을 뒤흔들었던 아랍혁명, 2016년 연말에 한국에서 폭발했.. 2020. 7. 4. 이전 1 ··· 42 43 44 45 46 47 48 ··· 1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