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다른세상을향한연대1336

모두를 위한 공공주택 정책이 필요하다 권시우 [권시우 동지는 현장에서 관련된 일을 하면서 부동산과 경제 정책에 대한 정치적 관심과 고민을 구체적으로 발전시켜 온 ‘다른세상을향한연대’ 회원이다. 최근 부동산 정책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치열한 상황에서 이 인터뷰가 고민과 논의의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다.] * ‘보수정부’에서는 집값이 안정되고 ‘진보정부’에서는 집값이 폭등해 왔다고 하는데? 집값 인상은 ‘보수정부’와 ‘진보정부’를 가리지 않았다. 집값이 가장 많이 폭등한 시기는 노태우 정권 때였다. 그 당시에 토지공개념에 대한 논의가 처음 제기됐다. 따라서 ‘진보정부’나 ‘보수정부’를 언급하면서 집값을 이야기하는 것은 잘못된 접근방법이다. 김대중 정부 때에는 IMF로 집값이 매우 낮은 상태였는데 고용과 경제상장률 등을 위하여 정부에서 건설업자에.. 2020. 9. 9.
공동전선: 채택과 적용 존 리델(John Riddell)번역: 두견 , 2018, 마이크 태버(Mike Taber). 코민테른 사료 출판 프로젝트의 최신작인 (이하 ‘교차로’)에 대한 서평이다. 특히 공동전선 정책에 초점을 두고 평가하고 있고, 나아가 코민테른 변질의 초기 과정도 보여 준다. 이것은 곳곳에서 극우익 세력과 반동 시도가 성장하고, 그것에 맞서는 기층 민중의 연대 필요성이 제기되는 오늘날에도 영감과 교훈을 주는 측면이 있다고 보여서 번역했다. 이 글의 필자인 존 리델(John Riddell)은 캐나다의 사회주의자이고 코민테른 역사에 대한 탐구와 재해석으로 국제적 좌파에 큰 기여를 해 왔다. 출처: https://johnriddell.com/2020/07/01/the-united-front-adoption-and-a.. 2020. 9. 7.
[박노자] 한 반도, 두 개의 민족? 박노자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사는 러시아계 한국인 교육 노동자/연구 노동자’라고 본인을 소개하는 박노자는 , , , 등 많은 책을 썼다. 박노자 본인이 운영하는 블로그에 실렸던 글(https://blog.naver.com/vladimir_tikhonov)을 다시 옮겨서 실을 수 있도록 허락해 준 것에 정말 감사드린다.] 만물은 변화무쌍입니다. 지속적인, 쉴 사이 없는 변화야말로 모든 물질의 제일 중요한 특징이죠. '민족 정체성'이랄까, 국가나 종족/민족 공동체에 대한 소속감의 형태 등 역시 늘, 계속 바뀝니다. 어디에서나 언제나 그렇죠. 1917년 혁명 이전의 러시아 제국 총인구의 80%는 농민이었습니다. 그 농민들의 대다수는 문맹자이었고 대부분은 토속신앙과 섞인 정교회 신도들이었습니다. 그들이 '모두들.. 2020. 9. 5.
갑자기 생각난 만화: 들장미 소녀 린 갑자기 생각난 만화: 들장미 소녀 린 - 피해자에게 인내와 순종을 요구하는 서사들 박철균 1. 뜬금없이 어렸을 때 봤던 만화가 생각났다. 우리집은 별로 비디오를 빌리거나 하지는 않았는데 - 나는 집에서 녹화한 애니메이션을 더 선호했다 - 그 몇 개 안 되는 비디오 중에 하나가 캔디캔디 1,2화였다. 뭔가 신파같은 게 초등(국민)학교 1학년 밖에 안 된 아이에게 너무 충격적이었겠지. 그 후 얼마 안가 KBS에서 ‘작은숙녀 링’으로 나오는 것으로 제대로 보기 시작했다. 그리고 고등학교 다닐 때 SBS에서 "들장미소녀 린"이로 재더빙해서 나왔는데, 그 때는 챙겨 보기는 어려운 시기라서 아주 가끔씩 보긴 했었다. 아마 이 만화를 기억한다면 20대 후반 혹은 3,40대가 됐을 것이다. 2.사실 한국에서 한창 막장.. 2020. 9. 3.
트로츠키의 대한 논쟁 폴 르블랑(Paul Le Blanc) 번역: 두견 폴 르블랑은 2015년에 를 출판했는데, 앨런 월드(Alan Wald)가 이 책을 비판적으로 리뷰하는 글(www.solidarity-us.org/node/4505)을 먼저 썼고, 그것에 다시 르블랑이 반박하면서 답변한 글을 여기에 소개한다. 비록 르블랑의 책과 서평이 먼저 번역돼 있지는 않은 상황이지만, 이 글이 관련 논의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필자인 폴 르블랑은 역사가이자 사회주의자로, 사회주의 역사에 대한 다양한 저술을 남겨 왔다. 출처: https://solidarity-us.org/atc/179/p4534/ 에 대한 그의 관대하고 사려 깊은 리뷰에 대해 앨런 월드에게 감사한다. 그는 영웅적이고 영감을 주는 191.. 2020. 9. 1.
세상읽기 - 전광훈과 우파/코로나/미국 민중투쟁/부동산 전지윤 ● 내가 진리이고 너희는 어리석고 그 투쟁은 무의미하다? 진중권, 김경율 씨 등이 낸 책에 대한 논란을 보면서 역시 이견의 존중 속에서 정치적 비판을 하는 것과 인간적 비난, 조롱, 경멸을 구분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그것은 서로 감정을 상하게 하고 상처를 주면서, 서로에게 귀를 기울이는 게 아니라 자신의 입장을 강경하게 고집하면서 상대를 더욱 공격하도록 만드는 경향이 있다. 지난해 검찰-수구언론-우파가 연합해 반동을 시도한 ‘검찰대란’ 국면이 펼쳐졌었다. 그 절정은 광화문에 우파가 대규모로 결집해 스스로 ‘10월 항쟁’이라고 선포한 시기였다. 그 배경에는 촛불시위가 대중투쟁에서 제도적 탄핵으로 유턴하며 마무리된 것, 검찰이 ‘적폐청산’ 과정에서 주도권을 쥔 것, 오랜 세월 형성된 검찰.. 2020. 8. 30.
[박노자] '중국의 세계 패권'은 없다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사는 러시아계 한국인 교육 노동자/연구 노동자’라고 본인을 소개하는 박노자는 , , , 등 많은 책을 썼다. 박노자 본인이 운영하는 블로그에 실렸던 글(https://blog.naver.com/vladimir_tikhonov)을 다시 옮겨서 실을 수 있도록 허락해 준 것에 정말 감사드린다.] 미 제국이 이제 가시적으로 힘이 빠지는 현 상황에서는, 중국이 '미국을 대체해서' 다음 세계 패권국이 되지 않을까, 라는 문제들이 계속 제기됩니다. 굳이 '궤도' 차원에서 이야기하자면, 꼭 아주 틀린 이야기는 아닙니다. '방향'으로 치면 미국의 쇠퇴는 가면 갈수록 가시화되는 반면, 중국은 여태까지 역병과 경제위기 등의 상황을 비교적 효율적으로 관리해온 것입니다. 그런데 한쪽의 하향 궤도, 그리고.. 2020. 8. 28.
동물복지와 동물을 먹는 일 최태규 [네이버 포스트 ‘최태규의 동심보감’에 실렸던 글을 다시 옮겨서 실을 수 있도록 허락해 준 필자에게 깊이 감사드린다.] 동물복지를 이야기하면 꼭 나오는 질문이다. “그럼 풀만 먹고 살라는 건가요?” 대답부터 하자면 “아니, 그 얘기가 아닌데요”다. 지난 번 글(어차피 먹을거라 괜찮아? 물고기 죽을 때까지 실컷 괴롭히는 나라)에서 물고기 복지 이야기를 썼더니 사람들이 화가 많이 났다. 개나 고양이, 소나 돼지, 아니면 동물원의 호랑이나 원숭이, 그런 동물들의 복지를 이야기를 할 때랑은 전혀 다르다. 혹시나 물고기를 못먹게 될까봐 걱정이 돼서 화가 난 걸까? 물고기라는 낱말과 복지라는 낱말이 붙은 걸 처음 봐서 놀란 걸까? 괜찮다. 어차피 시대가 가면 새로운 개념도 생기고 말도 생겨난다. 모른다고 화.. 2020. 8. 25.
역사상 가장 큰 위기가 시작되고 있다 닐 포크너(Neil Faulkner)번역: 두견 현재의 자본주의 위기는 인류 역사에서 그 영향과 범위 모두에서 전례 없는 것이라고 닐 포크너는 주장한다. 닐 포크너는 고고학자, 역사학자, 그리고 러시아 혁명의 민중사, 그리고 의 저자이다. 한국에서도 그의 책이 로 번역돼 있다. 촐처:https://www.timetomutiny.org/post/history-s-greatest-crisis-has-begun 2018년에 나의 책 제2판이 나왔을 때 마지막 장은 '자본주의의 최대 위기?'라는 제목이 붙어 있었다. 그 물음표는 그것이 얼마나 심각한지 결정할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나는 더 이상 물음표가 필요하지 않다. 나는 이제 이것이 우리가 이전에 본 어떤 것보다도 더 크다고 확신한다 – 인류 역사상 가장 .. 2020. 8. 21.
[박노자] 발언권 없는 타자들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사는 러시아계 한국인 교육 노동자/연구 노동자’라고 본인을 소개하는 박노자는 , , , 등 많은 책을 썼다. 박노자 본인이 운영하는 블로그에 실렸던 글(https://blog.naver.com/vladimir_tikhonov)을 다시 옮겨서 실을 수 있도록 허락해 준 것에 정말 감사드린다.] 저는 지금도 23년 전의 그 날을 기억합니다. 을 토론하는 학회의 날이었습니다. 제가 그 학회에 참가한 게 아니고 통역으로 불려 나간 것이었습니다. 저는 그 때 국내의 한 대학에서 교편을 잡았지만 무늬만 교수('강의전임강사')인지라 백오십만원인가 하는 월급만 가지고 생존하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이런저런 알바를 열심히 구했는데, 전공과 유관한 학회 통역 알바는 그 중에서도 최고이었습니다. .. 2020. 8. 19.
세상읽기 - 차별금지법/ 기후위기/ 레바논/ 검언유착의 구조 전지윤 ● 차별금지법 제정촉구를 위한 오체투지 얼마전 차별금지법 제정촉구를 위한 오체투지에 함께 했다. 나는 플래카드 들고 옆에서 걷는 것에 불과했기에 힘들 것도 없었지만, 직접 오체투지를 하는 차제연 활동가들과 조계종 사회노동위 분들은 덥고 습한 날씨에 정말 고생이 많으셨다. 영등포 미통당 당사에서 출발해 여의도 민주당 당사까지 갔는데, 미통당은 지금 차별금지법 제정에 가장 큰 걸림돌이다. 지난번 조지 플로이드 사망 때 미통당 의원들이 무릎꿇으며 ‘모든 차별에 반대한다’고 퍼포먼스를 해놓고, 역차별과 표현의 자유 운운하며 당 지도부가 나서서 차별금지법에 태클을 걸고 있는게 미통당이다. 혐오세력과 공모해 발목을 잡으려 하고 있는데, 이런 미통당이 어제 겉만 번지르한 혁신안을 발표한 것도 참으로 이중적이었.. 2020. 8. 17.
생명 만들기, 자본주의와 팬데믹 - 여성 노동과 페미니즘 생명 만들기, 자본주의와 팬데믹- 여성의 노동에 대한 페미니즘적 사상 수잔 퍼거슨(Susan Ferguson). 티티 바타차리야(Tithi Bhattacharya)번역: 두견 수잔 퍼거슨, 티티 바타차리야와 함께 어떻게 팬데믹이 마르크스주의적 개념의 사회적 재생산 이론의 중요성에 빛을 비췄는지 이야기했다. 여성의 해방은 모든 노동의 급진적 재구축에 달려 있다고 제안하면서, 포괄적 페미니즘 정치를 위한 강력한 근거로서 새로워진 사회적 재생산 이론의 뼈대를 옹호한다. 유튜브 생방송에서 청중들과 주고받은 질문과 답변을 정리한 것이다. 수잔 퍼거슨(Susan Ferguson)은 사회적 재생산 이론을 발전시키며 노동력과 노동계급의 사회적 재생산이 작업장을 넘어서서 인종과 젠더의 교차 속에서 이뤄진다는 점을 강조해.. 2020. 8.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