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다른세상을향한연대1336

[박노자] 누가 어떻게 푸틴을 막을 것인가 [이번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서 시작된 전쟁에 대해서 러시아 국내의 전쟁 지지 여론이 어떻게 형성된 것이고 어떻게 푸틴의 권력에 맞선 저항이 가능할 것인지를 분석하고 전망하는 박노자의 최신 글 2개를 묶어서 소개한다. 러시아의 역사와 현실에 대한 깊이있는 이해와 통찰력을 보여 준 필자의 이 글들은 우리가 지금 상황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사는 러시아계 한국인 교육 노동자/연구 노동자’라고 본인을 소개하는 박노자는 , , , 등 많은 책을 썼다. 박노자 본인의 블로그에 실렸던 글(bit.ly/3jpYwgJ)을 다시 옮겨서 실을 수 있도록 허락해 준 것에 정말 감사드린다.] ● 저들은 왜 서방을 증오하는가? 세계인 다수가 규탄하는 푸틴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여론 .. 2022. 4. 5.
나는 괜찮고, 또한 괜찮지 않다 박철균 괜찮다. 1. 장애인운동은 이 비장애인 중심의 일상을 멈추면서 장애인이 이 사회에 살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운동이었다. 지하철을 막고 버스를 막고 길을 막고 점거를 하고 심지어는 아스팔트를 기어가기도 했다. 그렇게 21년을 존재하기 위해 살기 위해 투쟁했다. 아이러니하게 이준석이 일주일동안 펼친 혐오 차별 선동과 전장연에 대한 정파적 프레임 씌우기, 낙인 찍기 덕분에 그렇게 장애인운동이 목 놓아 외쳐야 겨우 이야기가 보일까 말까 하던 장애인에 대한 권리가 계속해서 회자되고 있다. 사흘 연속으로 주요 일간지에 1면이 실리다니, 전장연을 좋아하든 싫어하든 계속해서 그 운동을 이야기하고 이동권을 얘기한다. 지지하든 비이냥대든 이동권 말고도 장애인운동이 얘기하는 다른 이야기 - 탈시설, 노동권.. 2022. 4. 2.
새책 소개) 연속성과 교차성 연속성과 교차성: 다른 세상을 향한 이단적 경계 넘기플랫폼 자본주의, 기후 위기, 코로나19 팬데믹, 전 세계적 극우 혐오정치의 위험은 계급투쟁의 새로운 물결과 방향을 필요로 한다.투쟁과 쟁점을 연결한다는 것은 투쟁과 쟁점의 분리, 단절이 아니라 그것의 연속과 교차를 추구한다는 뜻이다.그러한 사회변혁은 무엇보다 여성과 소수자 등 ‘피억압자들의 축제’가 될 것이다.“제가 쓴 첫 책이 출판됐습니다. 누구에게든 그렇겠지만, 이 책에 실린 글들은 많은 분들과의 모임, 세미나, 회의, 토론, 활동, 교류 속에서 얻은 영감, 조언, 반론들이 없었다면 나오지 못했을 것입니다. 저는 어떤 성역이나 금기도 없는 자유롭고 열린 토론, 서로 다른 의견의 존중과 우호적인 토론 자세를 가장 중요하게 여겼고 다양한 많은 분들이 .. 2022. 3. 30.
이준석 대표는 권력으로 누르고 갈라치지 마십시오 배영준(광주 장애인차별철폐연대 활동가) 안녕하세요 광주 장애인 차별 철폐연대 상임활동가 배영준입니다 서울에서 지하철 투쟁을 하는 전국 장애인 차별철폐연대 투쟁단체에 힘을 많이 실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지금 이 자리까지 오는 과정에 많은 수단을 사용하였지만 국가는 움직이지 않았고 소수자들의 이야기를 듣지 않았습니다. 우리가 한번 지하철 투쟁을 멈춘 적이 있습니다. 그 멈추는 동안 관련 예산에 관해서 이야기해본 적이 없고 인수위를 찾아가도 우리를 만나주지 않았습니다. 그 시간 동안 우리는 기다렸고 모든 행동을 멈추고 시간을 보냈습니다. 하지만 그에 대해서 3월 23일까지 답변은 오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이준석 당 대표는 작년에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를 만나서 충분히 이야기했고 관련 법안도 통과할 수 있도록 .. 2022. 3. 28.
세상읽기 - 윤석열 시대/우크라이나/장애인 투쟁 전지윤 ● 여기서는 마음을 단단히 먹어야 한다 아직 취임하려면 두 달이 남았지만 벌써부터 다양한 반동의 신호탄을 쏘아올리고 있는 윤석열 정부와 윤석열 시대의 중요한 특징에 대해서 알고 싶은 사람들은 대선 전후에 방송한 3개의 시사다큐들을 볼 필요가 있다. 시간 순으로 보자면 대선 직전에 방송한 의 ‘끈질긴 친일’, 대선 직후에 방송한 의 ‘쩐과 혐오의 전쟁’, 그리고 며칠 전 방송된 의 ‘젠더 갈등과 여성가족부’가 그것이다. 소재와 강조점이 조금씩 다르지만 3편 모두 극단적 비방, 조롱, 낙인찍기, 조리돌림을 통해서 편견과 혐오를 불러일으키고, 거기서 사회경제적 이익을 얻어가는 집단과 방식의 실체에 대해서 탐사 취재해서 다루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특히 중요하게 추적해서 다루고 있는 것은 '사이버 렉카.. 2022. 3. 27.
러시아 혁명을 레닌주의를 통해 설명할 수 있는가? - 사뮤엘 파버에 대한 답변 에릭 블랑Eric Blanc 번역: 두 견 근래 서구 좌파진영에서는 사회변혁의 전략에 대한 흥미롭고도 중요한 논쟁들이 벌어지고 있다. 그 속에서 러시아 혁명에 대한 재평가, ‘레닌주의’적 사회변혁 전략의 타당성 등도 중요한 논점이 되고 있다. 우리는 이와 관련된 글들을 계속 번역, 소개해 왔는데 이번 글도 그것의 연장이다. 이 글은 러시아 혁명과 레닌주의의 신화를 해체해 온 에릭 블랑의 최근 저서 가 촉발한 논쟁의 연장이다. 이 책에 대해서 사무엘 파버Samuel Farber가 ‘레닌주의’적 입장에서 반박하는 서평을 썼고, 이에 대한 재반박이 바로 이 글이다. 이 글에 대해 다시 같은 지면에 파버가 재반박을 썼는데 그것은 역량의 부족으로 미처 번역하지 못했다. 사무엘 파버(S.. 2022. 3. 24.
[박노자] 왜 러시아는 우크라이나를 침공했는가 [이번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서 시작된 전쟁에 대해서 그 배경과 목적, 역사적 뿌리 등을 분석하고 설명하는 박노자의 최신 글 2개를 묶어서 소개한다. 러시아와 동아시아 지역의 역사에 대한 깊이있는 이해와 통찰력을 보여 준 필자의 이 글들은 우리가 지금 상황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사는 러시아계 한국인 교육 노동자/연구 노동자’라고 본인을 소개하는 박노자는 , , , 등 많은 책을 썼다. 박노자 본인의 블로그에 실렸던 글(bit.ly/3jpYwgJ)을 다시 옮겨서 실을 수 있도록 허락해 준 것에 정말 감사드린다.] ● 러시아: 침략과 후진성 '침략'의 의도들은 시대마다, 나라마다 조금씩 다릅니다. 가장 단순하고, 분석하기 쉬운 것은 '자원 확보'나 '전략적 요충.. 2022. 3. 20.
우리의 꿈을 누가 막고 있을까 배영준(광주장애인차별철폐연대 활동가) 우리의 꿈을 누가 막고 있을까. 꿈이 많은 사람이 있다. 평범하게 비장애인들과 함께 살아가는 사회를 원하는 사람이 있다. 차별 없는 세상 평등한 세상을 만들어달라는 사람도 있다. 이런 말들이 목소리에서 나와야지 만들어지는 게 맞을까? 나는 그렇지 않다. 당연하게 누려야 할 세상을 오래전부터 만들어져야 할 구조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세상은 야속하게 그렇지 않다. 사회적 약자들의 꿈을 절실하게 이뤄가지 못하게 벽들이 너무나도 턱없이 높게 설정되거나 서비스가 절실하게 부족할 실정이다. 장애인들의 삶은 더 심하다. 학교를 졸업하고 마땅히 갈 곳이 없어 집에만 머물 수밖에 없는 장애인들도 있고 일하고 싶어도 일할 곳에서 나를 받아주지 않는 회사도 많이 있고 더구나 장애인이라.. 2022. 3. 17.
우크라이나를 아프간처럼 만들자는 끔찍한 발상 브랑코 마르케틱BRANKO MARCETIC 번역: 윤미래 서방 정치권의 영향력 있는 인사들 일부가 우크라이나를 러시아의 "아프가니스탄식" 수렁으로 만들자는 정책을 요구하고 있다. 이는 우크라이나인의 고통을 영속화하고 외국에서 벌였던 수많은 과오들이 남겨준 교훈을 무시하는 끔찍한 생각이라고 지적하는 글이다. 이 글의 필자인 브랑코 마르케틱BRANKO MARCETIC은 미국의 저명한 좌파 언론 Jacobin의 주요 필자이면서 주로 국제정치와 지정학에 대한 글을 써 왔다. 등의 책을 쓰기도 했다. 출처: https://jacobinmag.com/2022/03/ukraine-afghanistan-quagmire-far-right-global-economy-climate-disaster 나쁜 생각들이 마르지 않고.. 2022. 3. 14.
세상읽기 - 대선/마녀사냥/우크라이나와 반전평화 전지윤 ● 윤석열 당선 - 왜 이런 망할 일이 벌어졌는가 인종적 젠더적 혐오를 부추기는 극우세력이 성장하고 권력을 잡는 현상에서 한국도 예외가 아니라는 것이 드러났다. 문재인 5년 이후 윤석열이 등장한 것은 여러모로 오바마 8년 이후에 트럼프가 당선된 것과 비슷하다. 2016년에 트럼프가 당선된 날 엘리베이터에서 처음 본 여성들이 서로 부둥켜 앉고 울었다거나, 저녁에 마트에 갔더니 울면서 술을 고르는 사람들을 만날 수 있었다는 소식을 보고 가슴 아팠던 기억이 있는데, 이제 그 심정이 너무 생생하게 다가온다. 제일 먼저 떠오르는 것은 정치검찰-족벌언론들의 사냥감이 돼서 지독한 몰이를 당하던 사람들의 심정이다. 나를 괴롭히던 집단이 최고권력을 잡는 것을 목격할 때의 심정은 상상하기 어렵다. 지금 이 순간 우.. 2022. 3. 12.
사랑이 우리를 죽이려 할 때: 공멸과 생존의 기로에서 윤미래 1. 러시아 정부가 핵운용부대에 경계태세를 내리고 냉전을 거론하는 등 노골적으로 핵전쟁 카드를 꺼내들며 협박의 제스처를 취하는 지금의 시점까지 와서 누구도, 경악스러우리만치 그 누구도 핵전쟁을 진지한 가능성으로 받아들이고 있지 않다. 핵전쟁을 준비하는 사람들만 빼고 말이다... ... (사람들은 정말로 결정권자들이 실제로는 벌이지 않을 전쟁 장비를 갖추는 데 천문학적인 돈을 들이고 지역 사회의 반발을 감수해가며 세계 곳곳에 배치해왔다고 믿는 걸까?) 심지어 반전평화 성향의 급진 좌파들조차 '누구도 핵전쟁을 일으키고 싶지는 않을 테니 NATO와 러시아 사이에 전면전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라고 자신만만하게 말하고 있다. 심지어 푸틴의 리더십은 불안하고 푸틴은 공포에 질려 있다고 말하는 바로 그 글에.. 2022. 3. 10.
제재는 누가, 어디서, 언제 하느냐의 문제다 필 허스phil hearse 번역: 윤미래 [서방이 주도하는 러시아에 대한 경제제재가 과연 우크라이나 전쟁을 중단시키는데 효과적인가를 묻는 이 글의 필자인 필 허스Phil Hearse는 영국의 ‘반자본주의 저항’Anti* Capitalist Resistance 단체의 주도적 회원이며 Creeping Fasism과 System Crash의 공동 저자이다.] 출처: https://anticapitalistresistance.org/sanctions-a-question-of-who-where-and-when/ 나는 주로 미국이 고안하고 주도하는 러시아에 대한 미국-EU 제재를 지지하는 것에 반대한다. 우리는 물론 제국주의 국가들이 가하는 모든 제재가 반동적이라고 말하지는 않는다. 여기서 중요한 사례는 아파르트.. 2022. 3. 7.